고욕 ()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거란의 요주에서 발해부흥운동을 일으키고 스스로 대왕이라 칭한 발해의 유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발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거란의 요주에서 발해부흥운동을 일으키고 스스로 대왕이라 칭한 발해의 유민.
생애 및 활동사항

고욕(古欲)은 발해의 유민 출신이다. 1115년 2월 거란의 상경임황부(上京臨潢府, 오늘의 내몽골 赤峰 일대) 관할의 요주(饒州)에서 발해부흥운동을 일으키고 스스로 대왕(大王)이라 칭하였다. 요주에는 그 관할 현(縣)과 성(城)에 다수의 발해 유민이 거주하고 있었는데, 고욕은 바로 이들을 배경으로 하여 거병을 하였다.

『요사(遼史)』에 의하면, 요주의 관할 3개 현에는 모두 발해 유민이 거주하고 있었다. 장락현(長樂縣)에는 거란 태조가 발해를 정벌하고 그 백성을 옮겨 현을 세워 거주시켰다. 호(戶) 4천 중에서 1천 호는 철(鐵)을 공납하였다고 하므로 제철·제련과 관련된 민호인 듯하다. 임하현(臨河縣)은 본래 풍영현(豐永縣) 사람들이 거주하였는데, 태종(太宗)이 발해를 정벌하고 옮겼으며 그 호수는 1천이다. 그리고 안민현(安民縣)은 태종이 발해의 여러 고을에서 사로잡은 사람을 섞어 설치한 것인데, 호 1천이 있었다. 또한 왕족과 귀족 등이 전쟁에서 얻은 포로로 설치한 두하성(頭下城) 혹은 두하군주에는 보병과 기병이 3만여 명에 있는데, 이들도 고욕의 거병에 동참했다.

1115년 3월, 요는 소사불류(蕭謝佛留) 등으로 하여금 토벌에 나섰으나, 4월에 고욕에게 패배하였다. 그래서 남면부부서(南面副部署) 소도소알(蕭陶蘇斡)을 도통(都統)으로 삼아 치게 하였으나 그도 5월에 패배하였다. 6월에 이르러서야 소도소알이 고욕 등을 사로잡고 수천명의 목을 베었다. 고욕의 발해부흥운동은 5개월만에 실패로 돌아갔지만, 그 영향은 매우 컸다. 이듬해 정월에 고영창(高永昌)이 다시 동경(東京)에서 발해 부흥의 깃발을 드는 원천이 되었다.

참고문헌

『발해 유민사 연구』(이효형, 혜안, 2007)
『발해의 대외 관계사』(한규철, 신서원, 1994)
『발해의 지배세력 연구』(임상선, 도서출판 신서원, 1999)
『발해사』(박시형, 이론과실천, 1989)
『요사(遼史)』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