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축이란 조선 시대 행정구역으로 용산방(龍山坊) 이하의 네 개의 계(契), 즉, 청파(靑坡) 1, 2, 3, 4계를 포함한 네 계 지역을 말한다. 용산방은 성문과 가까우면서 18세기 말에 이미 인구가 밀집된 지역이었다. 용산방은 세곡 운송의 중심지였고, 도시에 공급하는 농작물인 채소를 집중적으로 가꾸거나 수공업을 담당했던 지역이었다. 이 지역의 지리적·경제적 조건은 성 안과 동질적이면서도 개성적인 문화를 구가하게 만들었다. 이 지역에 살았던 남성 소리꾼들은 성 안의 노래에 정통했음은 물론이고 성 안의 노래를 기반으로 삼아 각종 잡가, 즉 성 안팎에서 음악적 미감을 반영한 노래 혹은 서민적 정서를 기반으로 한 노래를 발달시켰다. 현행 서울 잡가가 이에 해당한다.
서울 잡가는 19세기 중반이후 수요가 증가했고, 20세기에는 극장에서 인기 있는 소리였다. 현행 서울 잡가에 해당하는 노래를 전담했던 집단은 사계축 지역의 남성 음악가들이 잘 알려져 있지만, 이 외에도 삼패가 더 있다. 삼패는 서울 잡가 가운데 좌창 잡가 즉, 안진소리의 전문가로 유명했다. 삼패는 19세기까지 여성음악계의 위계 내에서 중간에 위치했었지만 20세기 이후에는 극장 무대의 주역이 되었다. 20세기 벽두에 경기 좌창 잡가를 불렀던 점은 삼패나 사계축이 같지만, 사계축소리란 사계축 지역의 남성소리꾼이 부른 모든 서울 잡가류라고 정리된다.
조선 후기에 민간의 가창 수요가 늘어났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도 갖추어졌다. 민간의 가무에 대한 수요와 공급 양상은 가무에 대한 미적 태도에 따라 달라졌다. 특히 음악적 쾌락과 이에 대한 보상을 전제로 시정음악계가 발달하게 됐는데, 여기서 잡가(雜歌)가 향유되었다.
19세기 잡가는 20세기 잡가와는 그 개념이 다르다. 19세기 잡가는 서울에서 발달한 정가(正歌), 즉, 대엽류 악곡이 아닌 모든 노래들, 예컨대 가사와 서울지역 잡가, 나아가 판소리 계통의 타령류를 포괄하는 갈래명이었다. 『남훈태평가』(1863)에는『가곡원류』계와 같은 필사본 가집과는 달리 여러 19세기에 유행했던 여러 잡가들을 수록해 놓고 있다.
사계축 소리꾼으로 19세기 말에 유명해진 음악가는 갓을 만들었던 조기준, 밭을 갈았다는 박춘경 등이 있고, 20세기 벽두에 명성을 날렸던 음악가 중에 사계축의 후계자로는 박춘재가 있다. 박춘재는 사계축 소리를 기반으로 노래했지만 극장을 근거로 활동하면서 기존의 사계축 소리꾼보다 확장된 레퍼토리 즉, 가곡과 서도 소리등을 포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