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청화 모란문 호 ( )

백자 청화모란문 호
백자 청화모란문 호
공예
유물
문화재
조선 후기 청화안료를 사용하여 동체부에 모란문을 장식한 백자호.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백자청화모란문호(白磁靑畵牧丹文壺)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9년 12월 23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481 (구성동, 국립중앙과학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 청화안료를 사용하여 동체부에 모란문을 장식한 백자호.
개설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청화모란문호는 2009년 12월 23일에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곧게 뻗어있는 구연부와 부풀어있는 당당한 어깨,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다가 굽 가까이에서 살짝 외반하는 입호(立壺) 형태의 청화백자다. 입호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구연부가 직립하는 경향을 보이고, 어깨가 당당하게 부풀어 올랐다가 굽으로 내려가면서 급격하게 폭이 줄어든다. 이 항아리는 그러한 면을 잘 보여준다. 청화 발색이 남색에 가깝고 시유도 매끄럽게 잘 되어 있다.

또한 18세기 청화백자에서 보이는 장식 공간 활용의 특징은 주제문과 종속문대(從屬文帶)를 1~2줄의 선으로 구획하는데 그 선의 위치가 아래위에만 있지 않고 유동적이다. 문양 장식의 폭도 넓어져 산수문과 초충문(草蟲文) 등도 더 자주 사용되었다. 이 백자에는 동체부 전면에 모란을 횡으로 절지 형태로 장식하였으며, 그 사이에 곤충을 그려 넣어 한 폭의 초충도와 같은 느낌을 주고 있다. 이것은 18세기 청화백자 문양 장식의 추세를 따른 것이다. 설백색의 유색 사이로 붉은 색이 보이는 것은 가마에서 소성 당시 일부 산화되었기 때문이다.

특징

이 항아리처럼 구연부가 수직으로 길게 직립하고 문양대를 몇 개의 선으로 구획한 것은 조선 후기 백자 항아리의 기형과 문양 장식에서 자주 보이는 형식이다. 즉 구연부와 동체부가 만나는 곳과 동체부 하단 중간에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를 두르고, 동체의 하단은 이중의 청화선을 둘러 중심 문양과 공간을 구획하였다. 그 아랫부분에는 다시금 여의두문대로 장식하여 주제 공간과 종속 공간의 구분이 명확하다. 이 청화백자 항아리는 주제문으로는 횡으로 뻗은 절지 형태의 모란문을 크고 간략하게 표현하였으며, 곤충과 초문은 굵은 선으로 띄엄띄엄 배치하고 속필로 처리하였다. 동체부 하단 대부분을 여백으로 남겨두고, 여의두문대만 간결하게 장식하여 시원한 공간감을 연출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청화백자는 문양의 정교함이나 사실성은 약간 떨어지나, 입호의 전형적인 기형과 선을 이용한 공간 구획방식, 커다란 모란 절지문을 중심으로 한 초충문 장식 등 조선 후기 형식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자사적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백자 연구』(방병선, 일지사, 2000)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방병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