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권1~7 ( )

묘법연화경 권1~7
묘법연화경 권1~7
불교
문헌
국가유산
양산 통도사에서 왕 · 왕비 · 세자의 만수무강을 위하여 1649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이칭
이칭
법화경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묘법연화경 권1~7(妙法蓮華經 권一~七)
분류
기록유산/전적류/전적류/전적류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9년 05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6-42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양산 통도사에서 왕 · 왕비 · 세자의 만수무강을 위하여 1649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개설

『묘법연화경』은 법화사상을 담고 있는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보통 『법화경』이라고 한다. 요진 시대인 406년경에 처음 한역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처의 40년 설법을 집약하는 정수를 담고 있는 경전이다. 구마라집(344~413)이 406년에 한역한 경전이 많이 간행 유통되었고, 송나라의 계환이 주해한 7권본이 우리나라에 크게 유행되었다. 2009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제7권의 “왕비전하수제년 주상전하수만세 세자저하수천추(王妃殿下壽齊年主上殿下壽萬歲世子邸下壽千秋)”와 같이 이 책의 간행목적은 왕과 왕비 그리고 세자의 만수무강이었다. 또 청나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생활이 핍박했던 탓인지 “나라에는 전쟁이 없이 국토가 평안하고 온 백성이 농상(農桑)의 일을 잘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여 놓았다.

서지적 사항

전 7권7책 중에서 제1책(제1권)은 다른 판본이다. 언제 간행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천계이년(1622)임술칠월일인경(天啓二年壬戌七月日印經)”과 같이 1622년(광해 14)에 인출한 기록이 남아 있고, 상태도 비교적 좋은 편이다. 그렇다면 이 판본은 1622년(광해 14) 이전에 간행된 것이다. 제27책(제27권)은 1649년(효종 즉위) 6월부터 8월까지 양산의 통도사에서 간행된 판본이다.

내용

석가모니 부처님의 40년 설법을 집약한 경전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대승 경전의 하나이다.

의의와 평가

1649년(효종 즉위)의 통도사 간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1책(제4권), 영남대학교 도서관에 1책(제3권), 고려대학교와 경상대학교 도서관에 각 2책(권12), 성암고서박물관에 3책(권13) 등이 전하며, 모두 완질이 아니다. 이 책은 6권6책으로 기존 소장본보다 많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한 편이며, 이전에 간행된 제1권으로 보충하였다고 하더라도 희소성의 가치를 가진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묘법연화경』
『조선시대 묘법연화경의 판본 연구』(정왕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고려대장경지식베이스』(kb.sutra.re.kr/ritk/index.do)
『국가기록유산』(www.memorykorea.go.kr)
국가유산청(www.khs.go.kr)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www.nl.go.kr/korcis)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www.koreanhistory.or.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오용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