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조선인운동사연구회 ()

현대사
단체
1976년 6월 조선인의 강제연행 사실과 운동사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도쿄에서 조직한 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76년 6월 조선인의 강제연행 사실과 운동사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도쿄에서 조직한 단체.
개설

1976년 6월 도쿄에서 조직되었으며, 일본 전역에서 조선인 강제연행 조사활동을 해 온 박경식을 중심으로 강제연행된 조선인의 조사, 조선인운동사의 자료 발굴 및 공표, 재일조선인 사회에 대한 역사적 평가 활동을 하고 있는 연구단체이다.

연원 및 변천

회원은 재일조선인, 한국인유학생, 일본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동·관서부회를 합해 약 80여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모임의 명칭이 연구회이기는 하지만, 회원 모두가 전문 연구자인 것은 아니다. 연구회는 기본적으로 회원의 회비와 1977년부터 간행하기 시작한 기관 연구지 『재일조선인사연구(在日朝鮮人史研究)』의 판매 수익으로 운영되고 있다.

기능과 역할

연구회는 당초 재일조선인 투쟁의 역사, 운동사의 청취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즉, 연구회는 조선인 강제연행 관련 자료 발굴 및 조사 연구 활동을 하는 한편, 당대 일본사회의 조선인 관련 문제, 예컨대 1970년대의 히다치(日立)의 재일동포취직차별에 대한 소송 지원운동, 1980년대의 지문날인반대운동, 공영주택입거, 연금가입문제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여해왔다. 그러나 점차 운동사 중심에서 생활사, 문학사 등도 대상으로 하게 되었다.

박경식의 제안에 따라 1979년 2월 11일에는 한석희(韓皙曦)가 만든 청구(靑丘)문고에서 제1회 재일조선인운동사연구회 관서(関西)부회 예회(例會)를 개최하였고, 이후 관서부회의 연구회는 항상 청구문고에서 열리고 있다. 이로써 운동회의 조직은 관동부회와 관서부회로 나눠지게 되었다. 현재도 관동(関東)부회와 관서부회로 이원화되어 있다. 연구회는 원칙적으로 매월 연구모임을 열어 재일조선인운동사 관련 자료 발굴 및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재일조선인사연구』는 관동·관서부회 합동으로 간행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재일조선인 역사에 관한 연구 모임의 선구자적 위치에 있는 연구단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関東大震災·虐殺の記憶』(姜德相, 青丘文化社, 2003)
『朝鮮人学徒出陣―もう一つのわだつみのこえ』(姜德相, 岩波書店, 1997)
『재일조선인운동』(카지무라 히데키·김인건 역, 현음사, 1994)
『朝鮮問題資料叢書(全十六巻)』(朴慶植, 三一書房, 1982~1991)
『解放後在日朝鮮人運動史』(朴慶植, 三一書房, 1989)
『在日朝鮮人運動史-8ㆍ15解放前-』(朴慶植, 三一書房, 1979)
『在日朝鮮人關係資料集成(全五巻)』(朴慶植 編, 三一書房, 1975)
『日本帝国主義の朝鮮支配(上·下)』(朴慶植, 青木書店, 1973)
『朝鮮人強制連行の記録』(朴慶植, 未来社, 1965)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