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이총 ( )

국방
유적
일본 교토부[京都府] 교토시[京都市] 히가시야마구[東山区] 차야마치[茶屋町]에 있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베어간 조선인의 귀와 코 관련 무덤.
이칭
이칭
교토귀무덤, 코무덤(京都耳塚)
정의
일본 교토부[京都府] 교토시[京都市] 히가시야마구[東山区] 차야마치[茶屋町]에 있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베어간 조선인의 귀와 코 관련 무덤.
개설

일본의 국가 지정 사적.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전리품을 확인하기 위해 목 대신 베어갔던 조선인 약 2만 명의 귀와 코를 묻은 무덤이다. 무덤 위에는 불교에서 말하는 만물의 구성요소인 지(地)·수(水)·화(火)·풍(風)·공(空)을 상징해서 쌓아올린 고린토[五輪塔]라 불리는 석탑이 세워져 있고, 둘레는 돌로 둘러쳐져 있다. 높이는 약 7.2m, 석탑의 높이는 약 9m, 가로 폭은 약 49m이다.

역사적 변천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휘하 무장들이 부피가 큰 목 대신 가져갔던 것으로 본래 이름은 코무덤[鼻塚]이었으나 하야시 라잔[林羅山]이 『도요토미 히데요시보(豊臣秀吉譜)』에서 코를 자른 것은 야만적이라며 귀무덤이라고 쓴 이래로 귀무덤으로 바뀌었다.

내용

1597년 9월에 축조되었으며, 이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인 사이쇼 쇼타이[西笑承兌]는 코 공양 법회의 경문에서 ‘명나라와 조선의 전사자들’을 애도한다고 하면서 무덤 축조는 히데요시가 이들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긴[慈愍] 결과라고 적었다. 그러나 희생자의 대부분은 비전투원이었기 때문에 이 법회는 허구의 공양이었다.

임진왜란 당시 납치되었던 유학자 강항(姜沆)은 히데요시의 자민(慈愍)에 대해 비판한 바 있다. 에도시대 조선통신사 환영연회가 조선인이총 앞의 호코지[方広寺] 대불 앞에서 거행되었는데, 유학자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州]가 진언하고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가 중개하여 조선인이총에 대나무울타리를 쳤다고 전해진다. 1625년에는 조선통신사 부사 강홍중(姜弘重)이 조선인이총을 방문하였다.

1898년 히데요시 사망 300년 때 대규모 개수가 이루어졌는데 일본 제국주의화의 분위기 속에 히데요시를 국가의 위신을 신장한 인물로 재평가함으로써 조선인이총은 일본 국위 위신의 증표로 여겨졌다.

1915년 황폐해 있는 조선인이총 둘레를 공교롭게도 히데요시를 존경하는 우익 인사 오바타 이와지로[小畑岩次郎]에 의해서 돌 울타리로 둘러치고 무덤을 정비하는 등의 수리가 이루어진 이후, 1968년 4월 12일, 「호코지(方広寺) 석루(石塁) 및 석탑(石塔)」으로서 일본의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현재는 매년 10월에 위령제가 행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豊臣秀吉譜』(林羅山, 愛知県図書館 소장, 1658)
『격동의 동아시아를 걷다』(막스 폰 브란트·김종수 역, 살림, 2008)
『교토에서 본 한일통사』(정재정, 효형출판사, 2007)
「교토의 귀무덤에 대한 일고찰」(노성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연구』18집, 2009)
『天下統一と朝鮮侵略』(藤木久志, 講談社学術文庫, 2005)
『山州名跡志(巻三)』(白慧, 1711)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