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욱 ()

근대사
인물
해방 이후 『조선족약사』, 『중국조선족역사연구』 등을 저술한 학자. 교수, 역사학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8년
사망 연도
2011년
출생지
중국 길림성 연길
관련 사건
한국전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조선족약사』, 『중국조선족역사연구』 등을 저술한 학자. 교수, 역사학자.
개설

중국 연변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조선족 역사 연구를 이끈 역사학자이다. 1928년 9월 18일에 중국 길림성 연길시에서 태어났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47년 7월에 중국인민해방군인 동북인민민주련군에 가입하여 국공내전에 참전하였다. 1949년에 조선인민군에 편입되어 북한으로 들어간 뒤, 6·25전쟁에 참전하였다가 부상을 입고 중국으로 돌아왔다.

1952년 7월에 연변대학교 역사학부에 입학해 수석으로 졸업하였으며, 1956년에 연변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다. 중국 현대사를 전공하면서 조선족 역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1966년∼1976년의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의 자치주장이었던 주덕해(朱德海, 1911~1972)를 보호하고 임표(林彪)와 강생(康生)을 반대하였다는 이유로, 민족분열주의 추종자이자 반혁명분자로 지목되어 화룡현으로 추방되었다. 그 뒤 화룡현의 여러 중학교를 전전하였다.

1977년에 명예를 회복하고서 다시 연변대학교 교수로 복직하여 역사학부 부주임, 민족연구소 역사연구실 주임 등을 역임하였고, 1988년에 역사학 교수 직함을 받았다. 그 뒤 북경대학교 조선문화연구소 겸임교수, 한국 국사편찬위원회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객원연구원, 국제고려학회 이사를 역임하였고, 연변역사학회 부이사장 겸 비서장, 중국 소수민족 ‘5개총서’ 편집위원회 위원, 길림성 사회과학 역사기획조 성원 등으로 활약하였다. 1987년부터는 중국조선족역사발자취 총서 편집위원회 부총편집, 중국조선족고적정리위원회 이사 및 부총편집을 담당하여 총서의 기획, 원고 의뢰, 원고 심사 등을 주도하였다.

조선족 역사 연구 1세대 학자로,『중국조선족혁명렬사전』1-3(요녕민족출판사, 1983, 1986, 1992), 『조선족약사〔朝鲜族简史〕』(연변인민출판사, 1986), 『용두레촌』(연변인민출판사, 1988), 『불꽃』중국조선족역사발자취총서 2권(민족출판사, 1995), 『중국조선족역사연구』(연변대학출판사, 1995) 등 여러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고 출간하여 조선족 역사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 2011년 6월 17일에 노환으로 타계하였다.

참고문헌

「중국조선족역사연구의 거목: 박창욱」(손춘일,『연변학의 선구자들』, 소명출판, 2013)
「중국 조선족력사의 기본체계를 세운 학자—박창욱」(우빈희·황유복,『당창건 90주년 조선족 공산당원 90인』,민족출판사,2011)
「중국 조선족 제1세대 역사학자 박창욱」(유병호,『정신문화연구』87, 2002)
『延边大学人物年鉴』(孙东植主编, 延边大学出版社,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