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만한족자치연합회 ()

정치
단체
1931년에 중국 북만주에서 만들어진 조선인 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31년에 중국 북만주에서 만들어진 조선인 단체.
개설

1929년에 만주의 유일한 조선인 자치기관으로 만들어진 한족총연합회를 1931년에 개편한 단체이다. 조선족 주민의 결속과 사회주의자 활동 저지를 주로 맡았다.

설립과 변천

1928년에 만주에서 활동하였던 무장독립단체인 정의부(正義府)·신민부(新民府)·참의부(參議府)는 민족유일당을 조직하기 위해서 통합을 시도하였지만 실패하였다. 그 뒤 혁신의회(革新議會)와 국민부(國民府)로 분립되었다. 혁신의회는 좌우합작을 통해 민족유일당을 조직하고자 하였지만 역시 실패하였다. 이에 김좌진(金佐鎭, 1889∼1930)·정신(鄭信, 1898∼1931)은 북만주에 있는 군소 독립단을 규합하고 무정부주의단체인 흑색동맹파(黑色同盟派)의 남대관(南大觀)·전회관(田晦觀)·이강훈(李康勳)·이붕해(李鵬海, 1899∼1950) 등과 함께하여 한족총연합회를 조직하였다.

한족총연합회는 재만(在滿) 조선인의 정치적·경제적 향상·발전을 도모하면서 항일구국을 위해 재만 동포의 총력을 모은 자주적·자치적 협동조직체였다. 교포들의 정착 사업, 협동조합·교육문화 사업, 게릴라 부대의 육성, 치안을 위한 군사훈련 사업 등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창립 직후에는 조직선전부를 중심으로 지방 조직 구성에 나서 중동선(中東線)·길돈선(吉敦線) 지대에 3대의 선전원을 파견하였고, 학교 설립을 위해 북만중학기성회를 조직하였으며, 1929년 10월에는 산시(山市)에 정미소를 세우기도 하였다.

1929년 겨울에 홍진(洪震, 1877∼1946)・이청천(李靑天, 池靑天, 1888∼1957)・정부・최악(崔岳) 등이 제의하여 한족총연합회를 민중을 관리하는 외부기구로 삼은 한국독립당 설립이 추진되었다. 한국독립당은 총무・조직・선전・군사・경리・감찰 등 6개의 위원회를 설치하였고, 북만주 일대에 거주하는 기존의 의병, 유림(儒林), 대종교 등 단체를 아우르며 진영을 정돈하고 군사 및 민중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역량을 갖췄다.

하지만 1930년 1월에 공산주의자 박상실(朴尙實, 朴尙範)이 김좌진을 암살하자, 7월에 홍진·지청천·민무(閔武)·조경한(趙擎韓, 安勳, 1900∼1993)·황학수(黃學秀, 1879∼1953)·신숙(申肅, 1885∼1967)·이장녕(李章寧, 1881∼1932) 등은 한족총연합회와 생육사(生育社)를 기반으로 한국독립당과 휘하 당군인 한국독립군을 조직하였다. 그 뒤 한국독립당은 여러 곳의 주민회를 연합하여 주민을 결속하고 사회주의자의 활동을 저지하려고 1931년 2월에 ‘북만한족자치연합회’를 조직하였다. 북만한족자치연합회의 전신인 한족총연합회는 북만주 일대 민족주의 세력의 결집과 함께 남만주의 정의부와 일부 신민부 계열 인사들 주도로 결성한 국민부·조선혁명당·조선혁명군의 성립에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장세윤, 독립기념관, 2009)
『재만한인사회와 민족운동』(황민호, 국학자료원, 1998)
『독립운동사』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지난 30년간 중국 동북지방에서의 한국혁명운동(속)」(김학규,『광복』1-3, 1941)
집필자
이계형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