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선무 ()

무용
개념
삼국시대 고구려와 백제에서 연행된 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와 백제에서 연행된 춤.
개설

고구려(高句麗)나 강국(康國: 현재의 사마르칸트) 등에서 전래된 당나라 궁정 연회 춤의 하나.

연원 및 변천

고구려나 백제의 호선무는 남북조시대에 중국에 전해졌다. 수나라와 당나라는 중원을 통일시킨 후에 국경 밖 변방 국가들의 음악과 춤을 모아서 자기 나라의 연회 때에 공연하게 했는데, 호선무는 당나라 9부악(九部樂) 중 고구려기로 선택되었다. 9부악이 10부악(十部樂)으로 재편된 후에는 강국(康國: 사마르칸트[Samarkand])의 호선무가 채택된 것으로 여겨진다. 당나라에는 고구려와 백제의 호선무뿐 만 아니라 남쪽과 서쪽의 여러 국가들에도 각각 호선무를 잘 추는 사람이 있었다. 당나라 왕실에 여러 나라에서 ‘호선녀’(胡旋女)를 바친 기록이 있다.

내용

『신당서(新唐書)』의 고구려기는 공 위에 서서 바람처럼 돌아가는 모습의 기예적 호선무이다. 반면 강국의 호선무는 급하게 회전하는 것이 특징이다. 당나라 때 특히 유행하여 현종(玄宗)의 애첩 양귀비(楊貴妃)와 서역 출신 신하 안록산(安祿山)도 호선무를 잘 추었다고 한다. 이로써 중당시인(中唐詩人) 원진(元稹)과 백거이(白居易)는 ‘호선녀’라는 시를 통해 황제(현종)의 마음과 나라를 함께 어지럽힌 원인이 호선무에 있다고 비판하였다. 당나라 말에 호선무는 유혹과 방탕의 춤이라고 평가되어 경계의 대상이 되었다.

현황

현재는 고대 문헌에서만 볼 수 있다.

참고문헌

『新唐書』卷21, 「志」第11, 禮樂志
『樂書』卷159, 「樂圖論」 胡部歌 九部樂, (宋, 陳暘 撰)
『舊唐書』 卷200上, 「列傳」 第150上, 安祿山
『通典』 卷146, 「樂」 6 四方樂
「高句麗 胡旋舞와 康國 胡旋女舞의 二元性 고찰」(이종숙, 『한국무용사학』 6, 2007)
집필자
이종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