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립동 ()

무용
작품
1937년 최승희가 조선민족의 정서를 담아 창작한 무용 작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37년 최승희가 조선민족의 정서를 담아 창작한 무용 작품.
구성 및 형식

「초립동」이라는 작품의 모티브가 되는 소년화혼(少年花婚)은 전통시대에 가문의 혈통을 이어가는 것을 자식 된 도리로 여겨 온 우리나라에 널리 성행한 풍속으로, 고구려의 조혼 풍속인 데릴사위와 민며느리라는 결혼 풍속을 유래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의 진행과정에서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어린 신랑의 다양한 표정 연출이 작품 전반에 시종일관 펼쳐진 높은 연기력이 보이며, 또한 뛰어난 유연성과 순발력을 통해 보다 어린아이다운 생동감이 관객에게 전달되었다.

내용

우리나라에는 나이 어린 시기에 장가가는 풍습이 있었다. 이에 모티브를 얻은 「초립동」은 나이 어린 총각이 새각시를 맞을 기쁨을 표현한 것으로, 부끄러움과 웃음의 동심세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초립동」의 초립은 어린아이가 쓰는 모자를 뜻하는 것이며, 초립을 쓰고 나온 어린아이가 장가드는 것이 마냥 좋아하는 모습을 표현한다. 장가를 가면 어른대접을 받아 좋고, 이쁜 옷을 입을 수 있어 좋으며, 용돈까지 받아 주머니가 두둑하니 마냥 즐겁기만 하다. 이렇게 신나는 기분은 돈주머니를 돌리기도 하고 제기차기로 흥겨워도 하며 때로는 어른의 걸음걸이를 흉내 내는 등 짓궂은 모습을 통해 사실적으로 묘사된다. 어린 신랑의 천진난만한 모습이 다양한 표정과 역동적인 동작에 의해 생기발랄하게 묘사되면서도 우리나라의 풍습과 문화까지 익살스럽게 잘 그려내고 있다.

해외공연에서 큰 인기를 끌었고, 파리에서는 초립동 모자가 유행하기도 하였다.

현황

최승희의 「초립동」 발표 이후 지금까지 많은 무용가들에 의해 동명의 작품이 발표되고 있으며, 1998년에는 재일교포무용가 백향주가 서울에서 최승희의 「초립동」을 재현하여 화제가 되었다.

참고문헌

『전설의 무희, 최승희의 예술세계』(리철우, 김연갑, 신나라, 2011)
「동아시아 무용가, 백향주」(박혜란, 『월간 샘터』10,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