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철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자음이 어휘형태소의 받침과 문법형태소의 초성으로 중복되는 표기법. 혼철 · 이중표기.
이칭
이칭
혼철(混綴), 이중표기(二重表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자음이 어휘형태소의 받침과 문법형태소의 초성으로 중복되는 표기법. 혼철 · 이중표기.
개설

체언이나 용언어간의 받침을 조사와 어미의 초성으로 내려 쓰는 연철 표기(말ᄊᆞᆷ+이→말ᄊᆞ미)에서 받침을 그대로 종성에 쓰는 분철 표기(말ᄊᆞᆷ+이→말ᄊᆞᆷ이)로 바뀌는 중간 단계에서 나타난 표기 방식을 가리킨다. 연철 표기가 중세국어의 주된 표기법이라면 근대국어에는 분철 표기가 주된 방식이어서, 16세기 초기 문헌부터 보이는 중철 표기는 이들 표기의 과도기적 형식으로 설명된다.

내용

중철 표기는 두 가지로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는 ‘ㄱ, ㄴ, ㄷ, ㄹ, ㅁ, ㅂ’ 등의 평음이 선행 음절의 받침과 후행 음절의 초성에 각각 표기되는 경우이다. 16세기 초기 문헌인 『번역박통사』(1517), 『여씨향약언해(1517)』, 『이륜행실도』(1518) 등에서 보이지만, 근대국어에서는 ‘ㅅ’을 제외하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하여 체언과 용언어간의 어휘형태소와 조사와 어미 등의 문법형태소를 구분하려는 문법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설명된다.

둘째는 ‘ㅊ, ㅋ, ㅌ, ㅍ’ 등의 유기음이 중철 표기된 것으로, 이들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 유형은 ‘동일 계열의 평자음자를 선행 음절의 받침에 쓰고 유기음을 후행 음절의 초성 위치에 쓰는 방식(예, ㅅ(ㄷ)+ㅊ, ㄱ+ㅋ, ㄷ(ㅅ)+ㅌ, ㅂ+ㅍ)’이며, 다른 유형은 ‘동일 계열의 평자음자를 선행 음절의 받침에 쓰고 ‘ㅎ’을 후행 음절의 초성 위치에 쓰는 방식(예, ㄱ+ㅎ, ㅅ(ㄷ)+ㅎ, ㅂ+ㅎ)’이다.

첫 유형은 평음의 중철 표기와 같은 16세기 초기 문헌에서 나타나기 시작하며, 두 유형은 ‘ㅂ+ㅎ’은 16세기 초기부터 보이지만, ‘ㅅ(ㄷ)+ㅎ’은 18세기의 몇몇 문헌에서만 나타난다. 덧붙여, 평음 계열인 ‘ㅈ’은 특이하게 ‘ㅅ+ㅈ’과 같은 중철 표기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국어표기사연구』(김중진, 태학사, 1999)
『근대국어연구(1)』(홍윤표, 태학사, 1994)
『국어표기법연구』(이익섭, 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집필자
신성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