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찰 ()

언어·문자
문헌
조선후기 문신 송규렴의 후손가에 전하는 9권의 서간집. 한문편지 · 한글편지.
이칭
이칭
은진송씨 제월당 송규렴가 『선찰』 소재 언간, 恩津宋氏霽月堂宋奎濂『先札』所載諺簡
정의
조선후기 문신 송규렴의 후손가에 전하는 9권의 서간집. 한문편지 · 한글편지.
개설

후손이 선조의 필적을 전하기 위하여 송규렴을 중심으로 집안사람 사이에 오간 편지를 배접하여 책으로 만든 것이다. 성책(成冊)한 사람은 알 수 없으며, 각 권마다 ‘先札’이라는 표제 아래 一~九의 순서를 적어 놓았다. 1권에서 8권까지는 대부분 한문 편지를 배접한 것이며, 9권은 한글 편지 112건을 싣고 있다.

서지적 사항

9권 모두 세로 46.㎝, 가로 33㎝의 크기로, 표제인 ‘先札(선찰)’은 각 권의 표지 왼쪽 상단에 붓으로 쓰여 있다. 각 권마다 표제 아래 일(一)~구(九)의 순서와 함께 오른쪽 하단에는 권수가 모두 9권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共九’가 적혀 있다.

두꺼운 장지(壯紙)에 편지를 배접하여 호첩장(胡蝶裝) 형식으로 만들었으며, 각 권의 표지 뒷면과 1면은 빈 면으로 되어 있고, 2면부터 편지를 배접하고 있다.

내용

한문 편지는 송규렴이 아들 송상기(宋相琦), 송상유(宋相維)와 조카, 손자 등 가문 내의 남성에게 보낸 것이며, 한글 편지는 대부분 송규렴과 부인 안동김씨가 여성이나 어린아이 등에게 보낸 것이다. 9-36번은 오라버니가 안동 김씨에게 보낸 한글 편지이다.

의의와 평가

124건의 언간은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의 언어를 반영하는 국어사 자료로서 좋은 자료가 된다. 124건이라는 많은 양에도 불구하고, 극히 짧은 시간 동안 축적된 자료라는 점에서 밀집도가 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글씨체는 한글과 한문 서체의 발달을 연구하는 서예사의 자료로, 편지의 사연 속에 담긴 내용은 문학사·생활사·여성사·문화사·복식사 등의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2』(황문환 외, 역락, 2013)
『조선 후기 한글 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5-은진송씨 송규렴 가문 한글 간찰』(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2009)
『은진송씨 제월당편-『선찰』 소재 언간』-한국간찰자료선집Ⅲ(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송규렴가 전적 『선찰』 소재 언간에 대하여」(이래호, 『어문연구』123호, 2004)
집필자
신성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