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음 ()

목차
언어·문자
개념
허파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이 입술 · 잇몸 · 연구개 등의 위치에서 완전히 막히면서 나는 언어음. 정지음.
이칭
이칭
정지음(停止音)
목차
정의
허파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이 입술 · 잇몸 · 연구개 등의 위치에서 완전히 막히면서 나는 언어음. 정지음.
개설

파열음은 ‘폐쇄-지속-파열’의 과정을 거치면서 소리가 나는 자음을 말하지만, 파열음 등의 자음은 음절말 위치에서 ‘폐쇄-지속’의 과정만 일어나고, ‘파열’ 과정은 생략된다. ‘폐쇄-지속-파열’ 과정을 거치는 파열음과 ‘폐쇄-지속’의 과정만 거치는 소리를 구분하기 위해 폐쇄음이 사용된다.

내용

일반적으로 공기가 터지는 단계를 중요시한 파열음과 공기를 막는 단계를 중요시한 폐쇄음이 동일한 개념으로 혼용되거나, 파열음의 폐쇄음에서 공통적으로 ‘폐쇄’의 단계가 나타나기 때문에 폐쇄음을 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대 한국어의 파열음과 폐쇄음은 음성적으로 다른 소리이다. 더욱이 파열음과 폐쇄음은 음성학적으로 대등한 지위에 있지 못하다. 폐쇄음은 파열음의 하위 부류인 ‘폐쇄음, 내파음(미파음), 방출음, 흡착음’ 중의 하나로 분류된다. 특히 파열음과 폐쇄음 중에서 파열음의 변이음 중의 하나를 음운으로 선정하는 과정을 보아도 파열음이 더 포괄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국어의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는 일반적으로 파열음인 것이다.

한편, 현대국어에서 /ㄱ, ㄲ, ㅋ/는 음절말 위치에서 /ㄱ/, /ㄷ, ㄸ, ㅌ/, /ㅈ, ㅉ, ㅊ/, /ㅅ, ㅆ/는 /ㄷ/, /ㅂ, ㅃ, ㅍ/는 /ㅂ/로 실현되는데, 음절말 위치에서 허파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이 막히는 소리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즉 ‘폐쇄-지속-파열’, ‘폐쇄-지속-마찰’ 과정에서 ‘파열’이나 ‘마찰’ 단계가 생략되거나 ‘마찰-지속’이 ‘폐쇄’로 바뀌는데, ‘폐쇄-지속’ 과정만 일어난 변이음 ‘ㄱ[k>], ㄷ[t>], ㅂ[p>]’이 /ㄱ, ㄷ, ㅂ/로 인식되는 현상을 중시하여 폐쇄음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국어 음운론 강의』(이진호, 삼경문화사, 2005)
『국어음운론』(최명옥, 태학사, 2004)
『한국어의 발음』(배주채, 삼경문화사, 2003)
『언어』(김진우, 답출판사, 1985)
『국어음운론』(이기문·김진우·이상억, 학연사, 1984)
집필자
신성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