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근형 ()

공예
인물
해방 이후 해강고려청자연구소, 해강도자미술관 등을 설립한 공예가. 도예가.
이칭
이칭
유봉래(柳鳳來), 해강(海剛)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4년(고종 31)
사망 연도
1993년
출생지
서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해강고려청자연구소, 해강도자미술관 등을 설립한 공예가. 도예가.
생애

1894년(고종 31) 4월 5일 서울에서 태어나 1909년 보성중학교를 졸업했다. 1911년 서울 묵정동에 일본인 도미타 기사쿠〔富田儀作〕가 세운 ‘한양고려소(漢陽高麗燒)’에서 일하면서, 도자기 제작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고려청자를 재현하기 위해 전국의 옛 가마터를 조사하고 재료에 대해 연구하였다.

1955년 한국조형문화연구소(韓國造形文化硏究所)의 성북동가마〔城北洞窯, 澗松窯, Kiln of Korean Art Society〕와 1956년 한국미술품연구소(韓國美術品硏究所)의 대방동가마〔大方洞窯〕에서 조각장(彫刻匠)으로 일하다가, 1958년 경기도 이천시 수광리에 내려가 자리 잡았다. 1967년에 해강고려청자연구소(海剛高麗靑磁硏究所)를 설립하였고, 1990년에는 장남 유광열과 함께 해강도자미술관(海剛陶磁美術館)을 세웠다. 1993년 1월 20일 백 세로 사망하였다.

활동사항

일본인 도미타 기사쿠가 1911년 8월에 설립한 청자공방인 한양고려소에서 조각장으로 일하게 되면서, 고려청자 재현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후 전국의 옛 청자 가마터를 조사하면서 고려청자의 재현을 위해 노력하였다. 미국 록펠러 재단의 지원으로 1955년 10월 설립된 한국조형문화연구소의 성북동가마에서 조선시대 백자를 현대화시킨 백자 제작에 참여하였고, 구황실 재산을 임대하여 1956년 가을에 설립된 한국미술품연구소의 대방동가마에서는 조각부에 소속되어 청자연구 및 조각장으로 일하였다. 1958년 대방동 가마가 경영난으로 문을 닫게 되자, 이듬해부터 경기도 이천시 수광리의 광주요로 자리를 옮겨 제작에 참여하였다.

1967년 해강고려청자연구소를 세우면서부터 매병(梅甁), 다완(茶碗) 등의 청자 모조품을 본격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일본인 관광객을 상대로 한 판매에도 성공을 거두었다. 이천시가 도자전문 도시로 발달하는데 큰 역할을 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된다. 1981년 이천 도예가들이 전통도자문화의 발전을 위해 설립한 한국전승도예협회에 노석경, 안동오, 조소수, 지순탁 등 원로 전승도예가와 함께 고문으로 참여하기도 하였다.

상훈과 추모

일본 별부박람회(別付博覽會) 금메달(金牌)(1928), 제1회 대한민국 수출공예품 전시회 가양상(佳良賞)(1950), 제3회 전국국산품전시회 문교부장관상(1954), 해방 10주년 생산품박람회 최우수상(1955), 미국 캘리포니아 국제박람회 금메달(1956), 동아일보 공예품전 전승공예부문 특선(1969), 제1회 관광민예품경진대회 대상(1971) 등을 수상했다. 1963년 인간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청자도공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1988년 경기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 청자장(靑磁匠)에 선정되었다.

참고문헌

『해강 유근형 비망록』(유근형, 세계도자기엑스포, 2004)
『근대를 보는 눈-한국근대미술 : 공예』(국립현대미술관, 얼과알, 1999)
『한국도예』(신상호, 홍대도예연구소, 1996)
『고려 청자 : 청자도공해강 유근형자서전』(유근형, 오른사, 1982)
해강도자미술관(www.heagang.org)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