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조신문 ()

언론·방송
문헌
1908년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한인 동포들의 계몽과 구제를 목적으로 창간한 교민 신문.
정의
1908년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한인 동포들의 계몽과 구제를 목적으로 창간한 교민 신문.
개설

국권의 회복과 러시아 한인 동포들의 계몽과 구제를 목적으로 1908년 2월 26일에 블라디보스톡 한인촌(개척리)에서 창간되어 5월 26일까지 총 75호를 간행한 한글 신문(일간지)이다.

편찬/발간 경위

1907년 블라디보스톡 한인촌에서 추진된 잡지([신종(新鐘)]) 간행의 움직임이 현지 관청의 허락을 얻지 못해 좌절되자 동포 사회에서 이에 굴하지 않고 신문을 간행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러시아군 납품업자로 큰 부를 이룬 한인동포 최봉준(崔鳳俊)이 재원을 마련하고 주필 정순만과 황성신문사(皇城新聞社) 사장직에서 물러난 장지연(張志淵)을 초빙하는 한편 신민회 지부장 이강 등의 적극적인 참여 아래 러시아 거주 한인 사회 최초의 순한글 신문이 발간되었으니 그것이 곧 ‘해조海朝’-해삼위(블라디보스톡)의 조선인들이 간행’하는 신문이었다. 신문사는 개척리 한국거리(Корейская ул.) 344번지에 위치했다.

서지적 사항

논설, 잡보, 외보, 전보, 지서, 소설, 만필, 본항정보, 광고, 별보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순국문 석판 인쇄로 간행되었다.

내용

《해조신문》은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앞두고 자유사상과 독립정신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했다. 특히 논설이나 역사 연재 등을 통해 "일반 국민의 보통 지식을 계발하며 국권을 회복하여 독립을 완전하게 하기로 목적함"이라고 밝힌 발족 취지문에 부합하는 격렬한 항일 구국의 내용을 담아냄으로써 애국 독립운동 진영을 고무하는데 공헌이 컸다. 계몽적이면서도 재러 한인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단합과 구체적 신천사항 등을 강조하고 국내 정치 상황에 관한 평론과 민족의식의 고양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다. 러시아 영내뿐만 아니라 선편으로 원산항을 거쳐 당시의 경성(京城)·원산·인천·평양 등에 설치된 지국을 통해 배포된 《해조신문》이 국민에게 상당한 영향을 준다고 판단한 일제 통감부는 이완용 내각을 압박하여 1907년 7월에 제정된 「신문지법(新聞紙法)」을 이듬해 4월에 고치도록 함으로써 국내 판매 금지 및 신문 압수에 나서는 한편 최봉준의 무역 활동까지 방해하였다.

신문의 보급과 사업상 어려움이 겹치자 내부에서는 항일적 논조를 낮추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으나 이에 반발하는 내부 갈등이 발생하게 되었고, 결국 1908년 5월 26일자(제75호)를 끝으로 폐간을 결정하고 말았다.

의의와 평가

러시아 거주 한국인이 발행한 최초의 순한글 신문이자 해외 한인 최초의 한글신문으로 평가받는 해조신문은 3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간행되었으나 언론을 통한 계몽과 구국운동의 틀을 마련하고 해외거주 한인 민족운동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참고문헌

『해항일기(海港日記)』(장지연, 1908)
『대륙으로 간 혁명가들』(박환, 2003)
『한국신문사론고』(최준, 일조각, 1976)
집필자
방일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