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살이

동물
생물
하루살이목 곤충의 총칭.
이칭
이칭
날파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하루살이목 곤충의 총칭.
개설

다른 곤충류에 비해 다소 원시적인 곤충이다. 육상에서 아성충(subimago)과 성충시기를 합한 시기가 매우 짧은 일주일 내외를 살다 죽기 때문에 ‘하루살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약 80여 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2,000여 종이 서식한다. 일부 하루살이들은 수질오염에 민감하여 수질을 예측하고 분석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생태

종류에 따라 1년에 1회 혹은 2∼3회의 세대교체를 한다. 성충으로 탈피를 한 후에는 교미를 하고 알을 낳은 후 곧 죽게 된다. 불완전탈바꿈을 하며 애벌레의 경우, 하천이나 습지 등지에서 서식한다. 수생태계에서 생산자를 먹이로 하는 1차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다른 포식자의 먹이가 됨으로써 먹이그물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애벌레는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얻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기관아가미(gill)가 복부에 있으며, 날개를 보호하기 위해 날개주머니를 가지고 있다. 왕성한 먹이활동을 위해 구기(口器, mouth parts)가 잘 발달되어 있다. 꼬리는 2개 혹은 3개를 가지고 있다.

애벌레는 물속에서 여러 번의 탈피를 통해 성장한다. 일생의 대부분을 유충의 형태로 물속에서 생활을 하다가 ‘아성충’이라는 독특한 단계로 변태를 한 후, 육상생활을 하게 된다. 아성충은 성충의 형태와 거의 흡사하지만 날개가 불투명하고 몸의 무늬나 색도 분명하지 않다. 수컷은 눈, 다리, 생식기가 거의 다 발달된 상태이지만 암컷은 다 분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구기는 아성충과 성충 모두 퇴화되어 있다. 어른벌레 시기는 입이 퇴화되어 소화기관을 갖추고 있지 않다. 성충은 겹눈이 크고 잘 발달되어 있고 앞다리가 다른 다리들에 비해 굉장히 길다. 뒷날개는 앞날개에 비해 매우 작으며 없는 종도 있다. 쉴 때는 날개를 접지 않고 몸 위로 곧바로 펴 올린 상태로 휴식을 취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일반인들은 작은 날벌레들을 하루살이로 부른다. 하루살이는 시, 소설 등 문학적 내용에 ‘덧없는 짧은 인생’ 등을 표현할 때 자주 언급되는 생물이다. 어류의 좋은 먹이가 되기 때문에 낚시를 하는 사람들은 하루살이의 형태를 모방한 미끼를 만들어 이용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하천생태계와 담수무척추동물: 건강한 하천생태계를 이끄는 작은 동물들』(김명철 외, 지오북, 20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