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생이

남생이
남생이
동물
생물
문화재
파충류 남생이속의 동물.
이칭
이칭
석귀(石龜), 수귀(水龜), 진귀(秦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천연기념물(2005년 03월 17일 지정)
소재지
정의
파충류 남생이속의 동물.
개설

파충류인 남생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1 거북이다. 남생이는 진귀성 생물로 2005년 3월 17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법정보호종이다. 학명은 Mauremys reevesii (Gray, 1831)이다.

생태

등갑 길이는 25∼45㎝이다. 등갑은 흑갈색, 황갈색이며 여러 개의 골판으로 나눠져 있다. 등갑 등면에는 뚜렷한 3개의 용골이 있고 가장자리는 둥글다. 복갑 또한 여러 개의 골판으로 나눠져 있으며 갈색이다. 머리 측면은 여러 개의 녹색 줄무늬가 나 있다. 주둥이는 짧고 각질화된 부리가 있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지만 꼬리는 수컷보다 가늘고 짧다. 남생이는 물갈퀴가 발달되어 있지 않아 물 흐름이 느린 하천이나 연못, 저수지 등에서 주로 관찰된다. 11월부터 동면 후 5월부터 관찰되며, 5∼8월 모래에 구멍을 파고 백색 또는 황백색 알을 1∼3회에 걸쳐 각 4∼15개씩 낳는다. 새끼는 그 해에 나오기도 하고, 땅속에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나오기도 한다. 잡식성으로 곤충, 민물고기, 갑각류, 다슬기, 수생식물 등을 먹는다. 파놓은 구멍에는 배설물을 뿌려 단단하게 만든다. 수명은 20여 년이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남생이는 석귀(石龜), 수귀(水龜) 또는 진귀(秦龜)라 불렀다. 민간이나 한방에서는 한방약재로 남생이의 배껍질이 자양, 장, 보신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하여 말려서 달여 먹거나 환 또는 가루로 만들어 복용하기도 했다. 남생이의 피는 보혈강장제라 하여 생피를 술에 섞어 마시기도 했다.

현황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크고 작은 강, 호수, 하천, 저수지 등과 같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국외에는 중국일본에서도 분포하고 있다. 남획, 붉은귀거북과의 경쟁, 서식지의 파괴로 개체수가 매우 적은 상태이며, 앞으로도 개체군 감소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부터 국립생물자원관 주관으로, 남생이를 ‘멸종위기종 복원 · 증식 사업’의 대상 종으로 선정해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에서 남생이와 비슷한 넓은머리남생이가 수입되어 남생이로 오인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양서·파충류 생태도감』(이정현·장환진·서재화, 국립환경과학원, 2011)
『한국동식물 도감 제17권 동물편(양서 파충류)』(강영선·윤일병, 문교부, 1975)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www.nibr.go.kr)
주석
주1

민물에서 생장하는 성질. 또는 민물과 가까운, 민물과 관련된 성질.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명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