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걸 (modern girl)

목차
사회구조
개념
1920∼30년대 경성의 소비문화 형성과 함께 나타난 새로운 서구적 스타일과 의식의 여성들을 지칭하는 담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0∼30년대 경성의 소비문화 형성과 함께 나타난 새로운 서구적 스타일과 의식의 여성들을 지칭하는 담론.
내용

일본을 경유해 이입된 서구 근대 문화의 영향 아래, 1920∼30년대 경성에는 소비와 향락의 일상 공간이 남촌의 대표적 장소인 본정(本町)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경성의 젊은 세대들은 새로운 의상과 두발, 언어, 의식 등을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었으며, 1920년대 중반 이후, ‘모던걸’과 ‘모던보이’가 유행하게 되었다.

‘신여성’, ‘모던걸’, ‘단발랑’, ‘여학생’ 등의 용어들이 함께 사용되었으며, 당대의 담론은 ‘모던걸’을 ‘여학생’, ‘카페여급’, ‘기생’, ‘모던껄’이라는 네 부류의 여성들로 하위유형화 했다.

포괄적으로 ‘모던걸’로 명명되었던 이들은 한편으로는 ‘못된걸’, 즉 도덕적으로 ‘나쁜여자’로 재현되었다. 이들은 외형적으로 서구적 외양과 취미,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며, 섹슈얼리티의 젠더 질서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당대 언론에서 비판받기도 했다.

참고문헌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김진송, 현실문화연구, 1999)
「1920~1930년대 ‘모던 세대’의 형성과정」(주창윤, 『한국언론학보』52-5, 2008)
「식민지 조선의 모던걸: 1920∼30년대 경성 거리의 여성 산책자」(서지영, 『한국여성학』22-3, 2006)
집필자
김영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