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노동조합협의회 ()

목차
사회구조
단체
1990년 결성해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설립과 함께 해산한 노동단체.
이칭
이칭
전노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90년 결성해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설립과 함께 해산한 노동단체.
내용

19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 1년여의 준비기간을 거친 후 1990년 1월 22일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가 출범했다. 1987년 하반기부터 ‘마창노련’을 필두로 지역별, 업종별로 결집해 ‘서울지역노조협의회’, ‘인천지역노조협의회’ 등 15개 지역노조협의회와 ‘민주출판노조협의회’, ‘시설관리노조협의회’, ‘외국인기업노조협의회’, ‘전국화물운동노조협의회’ 등의 지역·업종별 노조협의회 및 ‘병원노련’, ‘전국전문기술노련’, ‘건설노협’, ‘대학교직원노조협’, ‘사무금융노련’, ‘언론노련’, ‘전교조’ 등 11개의 민주적인 업종노조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1988년 하반기 노동법개정운동과 11·13전국노동자대회를 거치며 ‘전노협’ 창립의 모태가 된 전국회의가 구성되었다.

전국회의를 통해 전국조직 결성의 필요성을 확인하게 되면서 지역·업종별 노동조합전국회의의 결성이 12월 22일에 이루어졌으며, 공동투쟁, 공동실천을 통한 전국조직의 토대를 확보하기 위해 산하에 전국노동법개정 및 임금인상투쟁본부가 설치되었다.

1989년 2월 23, 24일 양일에 열렸던 제3차 전국회의에서 ‘전노협’ 건설 논의를 구체화하기 위한 ‘준비소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5월 17, 18일의 제6차 전국회의에서 8개 지역·업종 대표로 준비소위를 대폭 강화해 다양한 쟁점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시작했다. 이후 제11차 전국회의(1989년 10월 20, 21일)에서 개략적인 일정 합의를 거쳤으며, 12월 17일 전노협창립준비위가 결성되었다.

1990년 1월 22일 수원 성균관대에서 개최된 ‘전노협’ 결성대회에는 800여 명의 대의원을 포함한 1,500명의 노동자들이 모였으며, 당시 ‘전노협’에 456개 단위노조, 조합원 수 12만여 명이 가입했다.

‘전노협’은 지역노조협의회와 업종별협의회를 조직적인 두 축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들 연대조직들은 기업별 노조를 기초로 했다. 합법적 노조설립을 위해서는 상급연맹내지 노총의 인준필증이 필요했기 때문에 합법성을 획득한 사무금융노련 산하 노조들을 제외하고는 각 개별노조가 당시 유일한 합법 중앙조직인 노총에 가입해 있어 ‘전노협’은 독자적인 단체교섭권과 행동권이 합법적으로 보장되지 않았던 임의 단체의 성격을 띠었다.

‘전노협’은 노태우 정부에 의해 불법단체로 규정되어 ‘전노협’이 주최하는 모든 집회나 행사가 봉쇄되었다. 이에 ‘전노협’은 1990년 5월 전국 총파업투쟁을 단행했다. ‘전노협’에 가입하지 않은 비제조업 부문 노조들은 1989년 5월 30일 ‘전국업종노동조합회의’를 구성했고, 대기업 노조들도 연대를 모색해 7개 노조들이 1990년 2월 26일 ‘전국대기업노조비항대책회의’를 결성했다. ‘전노협’과 연대회의의 민주노조 진영은 노동법 개정을 위해 중앙조직체 결성을 모색해 1991년 10월 9일 ‘ILO 기본 조약 비준 및 노동법 개정을 위한 전국노동자공동대책위원회(ILO공대위)’를 결성했다.

1993년 2월 문민정부 출범 이후, 노동통제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민주노조 진영은 1993년 6월 1일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를 발족시킨 데 이어, 1994년 11월 13일 전국노동자대회에서 ‘민주노총준비위원회’를 구성했으며, 1995년 11월 11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연세대학교 대강당에서 1,000여 명이 참가한 가운에 창립대회를 개최했다.

참고문헌

『한국민주화운동사』3,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돌베개, 2008)
『전국노동조합협의회 백서』(전국노동조합협의회, 책동무 논장, 2003)
집필자
김영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