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동포북송반대전국대회 ()

목차
사회구조
사건
1959년 2월 21일과 6월 18일 재일한인북송반대전국위원회 주최로 개최된 재일교포 북송반대 집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59년 2월 21일과 6월 18일 재일한인북송반대전국위원회 주최로 개최된 재일교포 북송반대 집회.
내용

1955년 3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결성 이래 재일교포 북한 송환운동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는 1958년 9월 북한의 재일교포 귀국 환영 성명 발표 이후 더욱 확대되었다. 1959년 2월 13일 일본 정부는 적십자국제위원회가 개입한다는 전제 하에 공식적으로 재일교포의 북송 실시를 각의 양해했다.

일본 정부의 결정 하루 전인 2월 12일 정부·여당은 연석회의를 통해 일본의 교포 북송계획을 검토하고 내무부 주도의 전국적 성토대회 개최를 결정했다. 일본 각의가 북송을 결정하자 정부는 국무회의를 열어 이를 저지하기 위한 외교노력과 함께 2·4보안법파동 이후 금지되었던 데모를 허가해 범국민적 반대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1959년 2월 14일 재일한인북송반대전국위원회 조직을 위한 소위원회가 개최되었고, 2월 15일 각계 대표로 구성된 재일한인북송반대전국위원회의 발기위원회가 소집되어 위원회 발기인과 규약·선언문 등이 채택되었다. 2월 16일 재일한인북송반대전국위원회 대회가 서울대학교 강당에서 열려 이기붕(李起鵬), 조병옥(趙炳玉), 장택상(張澤相) 등 3명이 전국위원회 지도위원으로 선출되었고, 고문과 상임위원 등이 구성되어 조직이 완비되었다.

재일한인북송반대전국위원회 대회에서는 일본의 재일교포 북송을 저지하기 위해 국민 지도와 국제적 외교활동 전개가 결의되었다. 1955년 2월 16일 밤, 재일한인북송반대전국위원회 지도위원 및 상임위원은 회의를 열어 21일 서울운동장에서 전국대회와 시위를 갖기로 결정했고, 2월 18일 재일한인북송반대전국위원회 총무 및 연락간사들은 대한노총을 비롯한 7개 단체의 각 동원 실무자들을 불러 전국대회 개최에 따른 동원과 경비문제 등을 협의했다.

1959년 2월 21일 오전 서울운동장에서 각계각층 6만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재일교포북송반대전국대회가 열렸다. 전국대회에서는 일본에 재일한인 북송 포기를 촉구하는 지도위원 3명의 격려사, ‘국민은 재일교포 구출에 총궐기하라’는 이승만 대통령의 메시지 낭독, 대회결의문, 유엔총회의장, 유엔사무총장, 한국전쟁 참전 16개국 정부 대표, 국제적십자 대표 등에게 보내는 메시지 채택이 이루어졌다. 대회가 끝나자 참가했던 군중은 을지로와 종로 두 곳으로 나누어 시가행진을 벌였으며, 서울의 상가들은 완전히 철시했다.

1959년 2월 21일 전국대회가 열리기 이전에도 일본 정부의 각의 양해 직후인 2월 14일 서울, 대구, 부산의 3개 도시에서 재일교포 북송반대와 일본을 규탄하는 시위가 있었고, 2월 16일 전국애국단체연합회 주최의 재일한인 북송을 반대하는 국민총궐기대회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재일교포 북송반대 시위가 일어났다. 치안국 집계에 따르면 2월 13일부터 28일까지 재일교포 북송반대 시위 회수는 3,229회, 참가한 인원은 557만 4,506명에 달했다. 1959년 3월 30일까지 전국의 시위 참가 인원은 1029만 5,499명으로 집계되었다.

1959년 4월 11일 제40회 국무회의에서는 타성화 된 북송반대시위를 일시 중지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일본적십자와 북한적십자 간의 북송 교섭이 타결 단계에 이르자 6월 12일 국무회의에서 북송반대국민운동을 재개하기로 했다.

1959년 6월 18일 서울운동장에서 10만여 명의시민들이 참가한 재일한인북송반대전국위원회 주최의 전국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일본의 재일교포 북송 계획 규탄과 함께 주일대표부 인사쇄신, 민단의 교포북송반대운동 지원, 재일교포 생활 향상 대책 강구, 대일외교에 관한 초당파적 기본정책 확립 등의 대정부결의안을 채택했으며, 적십자 국제위원회 위원장 앞으로 보내는 메시지를 통과시켰다.

치안국은 1959년 6월 22일부터 9월 7일까지 전국 각지에서 재일교포북송반대 시위에 910만 1,023명이동원되었고, 유인물 7,962매가 뿌려졌으며, 418회의 성명서가 발표되었다고 집계했다.

그러나 전국적인 재일교포북송반대 국민운동은 실질적으로 북송을 저지하지는 못 했다. 1959년 8월 13일 인도 캘커타(Calcutta)에서 북한적십자와 일본적십자는 공식적으로 귀환협정을 조인했고, 12월 14일 재일한인 238세대 975명이 일본 니가타[新潟] 항에서 북한으로 출발한 이래 1959∼1967년, 1971∼1984년까지 187차에 걸쳐 재일한인과 그 가족 9만 3,340명이 북송되었다.

참고문헌

『북한행 엑서더스』(테사 모리스 스즈키, 책과 함께, 2008)
「미국 국무부 재외공관문서(RG 84)와 한일회담」(박진희, 『사학연구』115, 2014)
「북한의 대일접근과 재일조선인 북송(귀국)문제」(박정진, 『북한연구학회보』15-1, 2011)
「1950∼1960년대 재일한국인 북송문제의 재고」(이연식, 『전농사론』7, 2001)
「북송문제와 귀국수속」(『경향신문』(1960.6.8.)
「14일 밤에 10만 명이 횃불 시위」(『동아일보』(1959.12.15.)
「반격 대책을 숙위」(『경향신문』(1959.3.16.)
「결의문 요지」(『경향신문』(1959.2.21.)
「북송반대 전국위 호소문」(『동아일보』(1959.2.20.)
「한교 북송과 일본의 내막」(『경향신문』(1959.2.18.)
「교포 북송은 자유에 대한 배신이다」(『경향신문』(1959.2.16.)
집필자
임송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