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교육연구회 ()

단체
1946년 8월 안호상(安浩相)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신교육운동 연구단체.
이칭
이칭
민주교육연구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46년 8월 안호상(安浩相)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신교육운동 연구단체.
개설

1946년 8월 ‘민주교육연구회’라는 이름으로 안호상·손진태·사공환·최현배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단체이다. ‘새 조선은 교육에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민족교육과 전인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였으며, 1947년 4월 15일 『조선교육(朝鮮敎育)』을 창간하여 1949년 10월까지 통권 18호를 발행하였다. 광복 직후부터 정부 수립기까지 존재했던 대표적인 교육연구 단체이다.

설립목적

‘새 조선은 교육에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민주주의, 역사·문화교육 연구를 목표로 출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족주의 성향이 강했던 조선어학회, 진단학회 회원이 중심이 되었으며, ‘민주주의 교육’과 ‘민족 교육’을 강조하였다.

연원 및 변천

단체의 조직 일자와 해체 과정 등이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지만, 1946년 8월 안호상의 주도와 출판인 김기오의 후원으로 ‘민주교육연구회’라는 이름으로 출범하였다.

1946년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3일간 ‘민주교육강습회’를 개최하였고, 1946년 12월 5일을 전후하여 ‘조선교육연구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강습회 결과물은 1946년 12월 22일 김기오가 대표로 있었던 문화당(文化堂)에서 『조선교육(朝鮮敎育)』이라는 출판물로 간행되었다. 이 간행물에는 ‘제일회 민주교육연구 강습회 속기록(第一回 民主敎育硏究 講習會 速記錄)’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중심 인물로는 안호상(安浩相)·손진태(孫晉泰)·사공환(司空桓)·최현배(崔鉉培)·안재홍(安在鴻)·최규동(崔奎東)·조윤제(趙潤濟)·허현(許鉉)·이인영(李仁榮)·윤태영(尹泰榮)·심태진(沈泰鎭)·이덕봉(李德鳳)·이호성(李浩盛)·심형구(沈亨求)·정건영(鄭建永)·송흥국(宋興國)·최병칠(崔秉七)·송근영(宋根永)·김기오(金琪午)·김수선(金壽善) 등이었다.

1947년 4월 15일에 발행된 『조선교육』 창간호는 ‘페스타로치특집’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으며, 안호상의 창간사, 최규동(崔奎東), 안재홍(安在鴻), 유억겸(兪億兼)의 축사가 들어 있다. 편집자 후기 이외에 ‘회원의 한 사람’이라는 필자의 글에 ‘민주주의 교육 강습회’에 천 명이 넘는 인원이 참석하였고, 교육 도서 출판과 교육 영화단 구성 등의 활동사항을 밝히고 있다. 『조선교육』 10월호 이후에는 ‘지상대학 특집’을 게재하여 통신교육을 개척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전국적인 조직망을 구축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광복 직후의 ‘국어회복운동’과 전인교육 차원의 ‘예술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기능과 역할

1946년 가장 먼저 실시한 일은 ‘각도 교육자 강습회’와 ‘중등교원 강습회’ 등이다. 이 활동은 모두 미군정청 문교부의 후원을 받았지만, 참여했던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미국 유학 경험이 없고, 조선어학회나 진단학회 출신자들이 많았기 때문에 민족주의 색채가 강하고, 미국식 민주주의 교육을 소개하면서도 이를 비판하는 입장에 있었다. 1949년 10월 이후부터는 활동 사항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의의와 평가

광복 직후 이른바 신교육 운동·민주주의 교육·민족 교육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미국 유학 경험이 없는 사람들로 구성된 교육자 단체로 ‘민주주의’, ‘민족주의’ 교육을 주창했다는 점에서 이 시기 교육자 단체의 이념적 성향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체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교과서 평설』(이종국, 일진사, 2013)
『미군 점령시대의 한국 교육: 사실과 해석』(오욱환·최정실, 지식산업사, 1993)
『광복 후의 신교육운동, 1946~1949: 조선교육연구회를 중심으로』(홍웅선,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교육과 민중문화』(김인회, 한길사, 1987)
「민족주의와 교육: 홍웅선 저 『광복 후의 신교육운동, 1946년-1949년: 조선교육연구회를 중심으로』에 대한 논평」(박연호, 『사회과학논평』14,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1996)
「미군정기의 교육 정책」(이광호, 『해방전후사의 인식』2, 한길사, 1985)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