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령동성당 ()

천주교
단체
중국 간도성 연길현 차조구(茶條溝)에 있던 천주교 연길교구 소속 침묵의 성당.
이칭
이칭
차조구성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간도성 연길현 차조구(茶條溝)에 있던 천주교 연길교구 소속 침묵의 성당.
개설

1928년 6월 간도성 연길현 대령동(大嶺洞)에 설립되었고, 인근의 차조구(茶條溝) 즉 지금의 옌벤조선족자치주 안투현(安圖縣) 차타오춘(茶條村)으로 이전되었다가 1946년에 폐쇄되었다. 일명 차조구성당으로, 주보는 「세례자 요한」이다.

연원 및 변천

1890년대 말 간도 지역에 처음으로 천주 신앙이 전파된 이래 각처에 신앙 공동체가 형성되면서 1909년에는 연길현 용정(龍井)과 화룡현 영암촌(英岩村, 즉 三元峰)에, 1910년에는 조양하(朝陽河)의 팔도구(八道溝)에 각각 성당이 설립되었다. 이때 대령동 지역에도 팔도구성당 소속의 공소(公所)가 설정되었으며, 1926년 7월 초에는 초대 원산대목구장 사우어(B. Sauer, 辛 보니파시오) 주교에 의해 팔도구성당의 보좌였던 엠머링(Emmerling Pius, 嚴威明 비오) 신부가 성당을 설립하기 위해 대령동 공소에 파견되었다. 그러나 엠머링 신부는 이곳 환경을 극복하지 못하고 다음해 철수하였으며, 이 공소는 계속해서 팔도구성당 공소로 남아 있게 되었다.

1928년 6월 말 사우어 주교는 라프(C. Rapp, 朴敎範 콘라도) 신부를 대령동성당의 초대 주임으로 임명하였다. 이에 그는 7월 1일 대령동에 부임하였고, 이듬해에는 아쇼프(S. Aschoff, 安 실베스테르) 신부를 보좌로 맞이하여 1930년에 작은 성당과 사제관을 완공하였다. 그에 앞서 1928년 7월 19일에는 원산대목구에서 연길지목구가 분리 설정되면서 대령동성당도 새 지목구 소속이 되었다. 이어 1929년 2월 5일 초대 연길지목구장으로 임명된 브레허(T. Breher, 白 테오도르) 신부는 1931년 가을에 라프 신부를 부지목구장으로 임명함과 동시에 뮐러(E. Müller, 睦 엔젤베르토) 신부를 2대 대령동성당 주임으로 임명하였으나, 그는 1932년 5월 27일 장티푸스로 사망하였다.

이후 대령동성당 신부 자리는 공석으로 있다가 1933년 12월 콜러(S. Koller, 李 살바토르) 신부가 3대 주임으로 임명되었으나, 1935년 3월 공산당에 의해 성당과 부속 건물들이 전소되었다. 다행히 화를 면한 콜러 신부는 차조구로 거처를 이전한 뒤 성당 건축을 시작하여 같은 해 11월 30일 브레허 아빠스의 집전 이래 봉헌식을 가졌으며, 동시에 성당 이름을 ‘차조구성당’으로 개칭하였다. 그 외에도 콜러 신부는 해성학교와 신심 단체들을 설립하고 공소 신설에도 노력하였다. 1946년 만주를 점령한 소련군에게 성당과 부속 건물들을 빼앗긴 뒤 콜러 신부는 체포되었고, 이로 인해 성당은 폐쇄되었다. 콜러 신부는 강제 수용소 생활을 겪은 뒤 석방되어 독일로 귀환하였다.

참고문헌

『분도통사』(요한네스 마르 지음·왜관수도원 역편, 분도출판사, 2009)
『은혜의 50년』(부산올리베따노성베네딕도수녀회 60주년준비위원회 편, 성베네딕도수녀원, 1995)
『함경도 천주교회사』(한국교회사연구소 편, 한국교회사연구소,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