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진성이씨 종택 ( )

주생활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
이칭
이칭
안동 주하동 경류정 종택(安東 周下洞 慶流亭 宗宅)
유적/건물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규모
건물 6동|토지 2,329.73㎡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재(2017년 06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태리금산로 242-5 (와룡면, 안동 진성이씨 종택)
내용 요약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이다. 진성이씨 송안군파의 대종가로 본채, 별당, 사당, 행랑채, 방앗간채, 내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별당의 당호가 경류정이어서 '경류정 종택'으로도 불린다. 종택 내에 가문의 역사적인 변천, 향촌사회의 변화상을 규명해 볼 수 있는 역사문화적인 자료가 전승되고 있어 민속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
건립 경위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진성이씨(眞城李氏) 송안군파(松安君派)의 주1로, 고려 말 문신 송안군 이자수(李子脩)가 종택의 현 위치인 두루마을에 터를 잡아 노년을 보냈으며, 7대손 이훈(李壎, 1457~1538)에 의해 이건되어 대대적인 중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형태와 특징

가옥은 본채, 별당, 사당, 행랑채, 방앗간채, 내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택의 맨 앞쪽에 행랑채가 사랑 공간의 전방 조망에 장애가 되지 않게 우측으로 빗겨 배치되어 있고, 그 뒤쪽에 양측 날개채를 둔 완전 ‘ㅁ’자 형 본채가 자리 잡고 있다. 본채의 좌측에는 별당인 경류정이, 우측에는 방앗간채가 있고, 본채 뒤편 좌측 높은 곳에 내삼문 및 사당이 있다.

성리학적 생활 규범에 따라 사랑채와 안채의 공간 영역 구분, 사당의 독립적 영역 구분 등 명확한 공간 구분은 17세기 이후 나타나는 배치 유형의 특징을 나타낸다. 별당 앞마당에 있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安東 周下里 뚝香나무)는 약 600년의 수령으로 종택의 역사를 잘 보여주고 있다.

「봉선록」과 「진성이씨세전유록」 등의 문서에서 종택 건립과 관련된 여러 사실이 기술되어 있고, 특히 1929년 중수 과정을 기록한 “가옥중수택일기(家屋重修擇日記)”에 따르면 상량에 대한 전체 일정을 모든 가족들의 생년월일시를 참조하여 잡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도 종택에는 혼례, 상례, 제례 문화를 볼 수 있는 많은 자료들이 전승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한 가문의 역사적인 변천, 향촌사회의 변화상을 규명해 볼 수 있는 역사문화적인 자료가 전승되는 공간으로 민속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1987년 12월 29일 ' 안동 주하동 경류정 종택(安東周下洞慶流亭宗宅)'이라는 명칭으로 경상북도 민속문화재에 지정되었으며, 2017년 6월 19일 '안동 진성이씨 종택'이라는 명칭으로 국가민속문화재로 승격,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기타 자료

「안동 진성이씨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지정고시문, 2017. 6. 28.)
「2017년도 제3차 문화재위원회-민속분과 회의록」(문화재청, 2017)
주석
주1

동성동본의 일가 가운데 시조의 제사를 받드는 가장 큰 종가.    우리말샘

집필자
정정남(㈜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대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