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 ( )

건축
유적
국가유산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에 있는 한국전쟁 기간 중 대통령 집무실 겸 관저로 사용된 건물.
유적/건물
건립 시기
1926년
건물 층수
2층
규모
1동
소재지
부산광역시 서구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근대정치국방/정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2018년 11월 06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서구 임시수도기념로 45 (부민동3가, 임시수도기념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는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에 있는 한국전쟁 기간 중 대통령 집무실 겸 관저로 사용된 건물이다. 1926년 경상남도지사 관사로 건립된 목조 2층 기와집으로, 한국전쟁 기간 중 피란 수도인 부산에서 대통령 집무실 겸 관저로 사용되었다. 국방 · 정치 ·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정책이 결정되었던 역사적 현장으로서 당시의 모습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어 역사적 · 건축사적 가치가 높다.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에 있는 한국전쟁 기간 중 대통령 집무실 겸 관저로 사용된 건물.
건립 경위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는 1926년 부산부 부민정 3정목 22(지금의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3가 22)에 경상남도지사 관사로 건립되었다.

변천

경상남도지사 관사는 1945년 광복 후 한국인이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1950년 한국전쟁 기간 중에는 대통령 집무실 겸 관저로 사용되면서 국방 · 정치 ·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정책이 결정되었던 역사적 현장이다.

임시수도 대통령관저는 1984년 6월 25일 ‘ 임시수도기념관’으로 개관하여 박물관으로 사용되었으며, 2001년 10월 해체 · 수리 복원공사를 완료한 이후 상설 박물관으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2001년 복원공사를 통해 본 건물을 임시수도기[1950년~1953년]의 건물 모습으로 복원함에 따라 내부 전시는 당시의 실내공간을 그대로 활용하여 전시하고 있다.

형태와 특징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의 건립 당시 건축 구조는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경상남도지사관사 신축설계도」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목조 2층 기와집으로, 건물의 외벽은 조적조, 내부 일부는 일본식 목구조로 혼합구조이며, 지붕은 모임지붕과 박공지붕을 혼용하여 일식기와를 얹었다.

평면은 ‘ㄱ’ 자 형태로 우측에 외부 접견인을 위한 출입구 및 응접실 부분을 돌출시키고 , 출입구를 통해 내부로 진입하면 응접실, 서재, 화장실이 연결되도록 하였다.

좌측 출입구와 연결된 공간에는 가사 도우미실, 화장실 등을 배치하였고, 전면에는 부엌, 차실, 일식 다다미방 내부는 복도로 연결하였다. 2층에는 3개의 일식 다다미방과 툇마루로 구성하였다. 전체적으로 서양식 주택과 일본식 주택을 절충한 형태였다.

건립 당시 내부는 일본식 전통 주거공간으로 조성되었지만, 광복 이후 한국인 도지사가 사용하면서 사용상의 문제로 일식 다다미방이 온돌방 또는 장마루로 교체되는 등 건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의의 및 평가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는 일제강점기 관사 건물로, 긴박했던 피란 수도기에는 국방, 외교, 정치, 일상 등 대한민국의 근현대에서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났던 상징적 공간으로 의미가 있다. 건축적으로는 서양식 기술이 유입되어 전통 목구조와 절충되어 가는 과도기적 기술 발전 과정을 증명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2018년 11월 6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임시수도 대통령 관저 사적지정을 위한 학술용역보고서』(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광역시, 2016)

기타 자료

「부산임시수도 대통령관저」(사적지정 고시문, 2018. 11. 6.)
집필자
정정남(㈜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대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