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욱 시선집 ( )

목차
현대문학
문헌
1980년 조선족 시인 이욱이 연길의 연변인민출판사 에서 간행한 시선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80년 조선족 시인 이욱이 연길의 연변인민출판사 에서 간행한 시선집.
내용

1907년 블라디보스토크의 고려촌(신안촌)에서 태어난 이욱(1907∼1984, 본명은 이장원(李章源))은 일제 강점기 간도 문학의 대표자이자 해방 후 중국 조선족 문학의 기반을 구축한 시인이다. 17세 되던 1924년 처음으로 〈생명(生命)의 예물(禮物)〉을 『간도일보』에 발표하면서 창작 생활을 시작했다. 체험적으로 갖게 된 유랑(실향)의식과 함께 조부와 부친으로부터 물려받은 한시의 교양, 진보적 사회주의 이념 등은 그의 문학 세계를 지탱하여 준 세 지주(支柱)였다. 그는 일제 강점기 내내 투쟁적 정서를 기반으로 한 서정시와 삶에 대한 통시적 서술을 중심으로 하는 서사적 서정시 등을 왕성하게 발표했고, 해방 후에는 사회주의적 관점을 전면에 내세운 작품들을 비교적 많이 창작했다.

『이욱 시선집』에는 첫 작품 〈생명의 예물〉(1924)을 맨앞에 싣고, 1957년에 발표한 서정서사시 〈고향 사람들〉을 맨 뒤에 실었다. 이 책에 실린 〈생명의 예물〉·〈님 찾는 마음〉·〈눈〉·〈봄비〉·〈금붕어〉·〈나의 노래〉·〈척촉화(躑躅花)〉·〈바위〉·〈오월〉·〈낙엽〉·〈별〉·〈모아산(帽兒山)〉·〈월야범종(月夜梵鐘)〉·〈샘〉·〈혈흔(血痕)에 깃든 꽃〉·〈땅〉·〈5월의 붉은 맘씨〉·〈역마차〉·〈북두성〉·〈내 두만강에 묻노라〉·〈라자구〉·〈격(檄)〉·〈옛말〉·〈젊은 내외〉·〈석양의 농촌〉·〈그날의 감격은 새로워〉·〈황소야〉·〈선구자〉·〈삼대〉·〈일어서는 거리〉·〈사랑하는 거리〉·〈공원의 서정〉·〈고향〉·〈땅의 노래〉·〈꽃 언덕이 보이네〉·〈시들 줄 모르는 진달래〉·〈그 마음〉·〈꿈〉·〈아리랑〉·〈생의 노래〉·〈고성(古城)〉·〈응(鷹)〉·〈추감(秋感)〉·〈독서〉·〈노시인〉·〈철학〉·〈고향 사람들〉 등은 모두 그의 다양한 시세계를 보여 주는 대표작들이다. 특히 〈고향 사람들〉은 항일유격대의 형상 창조를 바탕으로 조선 민중의 투쟁사와 민족 단결의 감동적인 장면들을 그려 냄으로써 그의 작품들이 단순히 서정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보여 주기도 했다.

참고문헌

『해방전 만주지역의 우리 시인들과 시문학』(조규익, 국학자료원, 1996)
『조선족문학연구』(임범송·권철 주필, 哈爾濱: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9)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