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사 ()

고전시가
작품
17세기 후반에 김기홍(金起泓)이 지은 농촌가사.
정의
17세기 후반에 김기홍(金起泓)이 지은 농촌가사.
구성 및 형식

가사체의 형식인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50여 행이고, 서사·본사·결사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소장하고 있는 필사본 『관곡선생실기(寬谷先生實記)』에 실려 있다.

내용

관곡(寬谷) 김기홍(金起泓, 1635∼1701)이 함경북도 관곡에서 생활한 45세 이후부터 60세 전후한 시기에 농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당위성을 강조하며 지은 가사이다.

서사인 제1단락(건곤乾坤이 열닌 후에∼본업本業을 아니 ᄒᆞ랴)에서는 사람들이 서직(黍稷)을 심고 농사를 지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선조들의 은덕에 감사함을 표현하고 있다. 제 2단락(ᄠᅳᆯ헤 봄이 들고∼ᄇᆡ브르 머그리라)에서는 농부가 농사에 참여하여 희망 찬 미래를 그리며 조상들을 섬기고 가족들을 돌보는 즐거움을 노래하고 있다. 제3단락(내 몸에 욕辱이 업고∼뉘 아니 감동ᄒᆞ리)에서는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서 제 밥벌이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농사가 천하의 대본이므로 농업을 통해 식량 생산과 먹을거리를 마련하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결사(어와 아ᄒᆡ들아∼격양가擊壤歌로 늘글이라)인 마지막 단락(7행)에서는 작가의 처세관을 청자인 ‘아이’를 내세워 드러내는 동시에 농사를 지어 화목하게 살아가고자 한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가사는 농부가 되어 농사를 지으면서 밤이 되면 글을 읽어 학문을 가까이하는 주경야독(晝耕夜讀)의 삶을 통해 농촌 생활을 즐겁게 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농사상(重農思想)과 권농의식을 담은 이른 시기의 가사로서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 16(임기중, 아세아문화사, 2005)
『17세기 가사전집』(이상보, 교학연구사, 1987)
「17세기 가사에 나타난 선비의 성격변화」(류해춘, 『가사문학의 미학』, 보고사, 2009)
「관곡선생문집과 언문가사·시조」(박영정, 『도서관』 29-3, 197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