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오진리 바위그늘 ( 바위그늘)

선사문화
유적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즐문토기 · 석기 · 무문토기 등이 출토된 집터. 바위그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즐문토기 · 석기 · 무문토기 등이 출토된 집터. 바위그늘.
개설

청도 운문천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연 암벽의 내부를 거주공간으로 활용한 암음(바위그늘)유적이다. 유구의 구조와 규모 등으로 보아 어로나 수렵활동을 위한 임시 주거로 추정된다. 바위그늘은 신석기시대를 중심으로 삼국시대까지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었으며 내외부에서는 신석기시대 주거지를 비롯하여 즐문토기·석기, 청동기시대 무문토기, 삼한·삼국시대 토기류가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내용

1993년 운문댐 건설 공사와 관련하여 부산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으며, 운문천에서 50m 가량 떨어진 바위산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은 산 전체가 응회암 암벽으로 이루어진 바위산 아래쪽을 거주 공간으로 이용한 형태이며 내부 규모는 높이 2.5m 너비 15.5m 정도이다. 바위그늘 내·외부에는 신석기시대 문화층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와 삼한·삼국시대 퇴적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서는 신석기시대 후·말기의 수혈주거지 1기와 집석노지 2기가 확인되었다.

주거지는 방형에 가까운 형태를 이루며, 바닥에는 30㎝ 정도의 하천석을 깔아 상면을 마련한 구조이다. 규모는 장축 3.7m, 단축 2.5m 정도이며 깊이는 가장 깊은 곳이 1m 정도이다. 주거 내부에서는 겹아가리토기(이중구연토기)를 비롯하여 석촉·숫돌·석부·고석·조개팔찌·골각기 등이 출토되었다. 노지는 10㎝ 전후의 냇돌을 집석한 구조이며 형태는 원형을 이룬다. 크기는 직경 75㎝~100㎝ 정도이다. 바위그늘 퇴적층은 신석기 문화층을 중심으로 크게 4개층으로 구성되며 최상층인 1층에서는 청동기시대 말기의 삼각구연(三角口緣)무문토기를 중심으로 삼한·삼국시대 와질토기와 도질토기·연질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2~4층에서는 신석기시대 남부지역의 조기에서 말기에 성행했던 융기문토기, 압인문토기, 침선문토기, 이중구연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4층에서는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바 없는 조질의 즐문토기가 출토되었는데 토기의 제작기법과 문양, 기형에서 기존의 토기와 구분된다는 점에서 오진리식토기로 불리고 있다. 유적의 층위와 토기의 형식적인 특징으로 보아 조기(서기전 5000년 전후)의 융기문토기보다 앞선 시기의 토기로 추정되고 있다. 이밖에 각 문화층에서는 마제석촉, 석부, 타제석부(굴지구), 숫돌, 갈판, 어망추, 박편석기 등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오진리 바위그늘은 즐문토기의 형식적인 특징으로 보아 신석기 조기 이전부터 말기까지 장기간에 걸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유적의 성격과 유구의 규모 등으로 보아 어로나 수렵 활동 등을 위한 일시적인 거주공간으로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바위그늘유적으로써 드문 사례일 뿐만 아니라 여러 시대에 걸쳐 장기간 이용되었다는 점, 신석기시대 다양한 형식의 즐문토기류와 석기, 조개팔찌 등이 출토되어 남부 내륙지역 즐문토기문화의 성격과 변천과정을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참고문헌

『청도 오진리 암음유적』 (부산대학교박물관, 1994)
집필자
하인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