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압지 출토 목간 ( )

고대사
유물
1975년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된 남북국시대의 목간.
이칭
이칭
안압지목간
정의
1975년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된 남북국시대의 목간.
개설

1975년 문화재연구소 경주고적발굴조사단이 시행한 경주 안압지 발굴과정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목간을 말한다. 목간은 그 용도가 다양하여 간략히 정의하기는 힘들지만, 대략 '문자가 있는 목제품' 또는 '문자기록이 있는 목제품'정도로 규정할 수 있다. 목간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종이 등 서사자료가 귀하던 시기에 기록하기 위해 고안해 낸 수단인데, 중국의 경우 죽간(竹簡)이 주로 쓰인 것과 달리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은 목간이 많이 쓰였다.

내용

1975년부터 1976년까지 문화재연구소 경주고적발굴조사단이 시행한 경주 안압지 발굴과정에서 신라시대의 목간 51점이 발견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것으로 첫 사례였다. 목간에 기록된 연호로는 천보십재(天寶十載)(751), 보응사년(寶應四年)(762) 등이 나타나며, 간지로는 경자년(760)·갑신년(764)·을사년(765)·갑인년(774) 등이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하면 안압지에서 발견된 목간들은 경덕왕 중반에서 혜공왕9년(774) 사이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목간은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는데, 식품 등에 매달은 부찰(附札)목간, 지방에서 궁정에 바쳐진 진상물에 매달은 하찰(荷札)목간, 궁정의 門이 적힌 목간, 약재의 이름이 적인 의약관련 목간, 행정과 관련된 문서목간 등이다. 즉 목간의 내용을 토대로 하면 경덕왕대부터 혜공왕대 사이의 국왕 및 東宮과 관련된 시종과 비서기구인 세택(洗宅)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일부 목간에 시간을 반영하는 절대 연호(年號)와 간지(干支)가 표기되어 있어 목간의 제작시기를 알 수 있다. 또한 목간의 기록 가운데 '北門, 西門, 大門, 義門' 등 문호(門號)가 여러 개 발견되는데, 일본 평성경(헤이죠쿄) 유적에서 발견된 목간에서도 東三門, 北門' 등의 표기가 보여 양국간 비슷한 서식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사(助史) 등 관원으로 추정되는 인물들도 나타나고 있어 구체적인 문서행정의 실체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현황

발굴된 51점 가운데 판독 가능한 것은 31점 정도이며, 중간 부분에 판독이 어려운 글자도 있어 완전한 내용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대략적인 용도와 의미는 파악된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최초의 목간으로서 고대 한국에서도 목간문화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확실한 자료이며, 서사자료로서 종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이전 문자생활의 구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소중한 기록물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신라 목간의 세계』(이경섭, 경인문화사, 2013)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윤선태, 주류성, 2007)
『한국의 고대목간』(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4)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권덕영, 학연문화사, 2002)
『한국고대금석문자료집』 Ⅲ(국사편찬위원회, 1995)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Ⅲ(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한국상대고문서자료집성』(이기백, 일지사, 1987)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안압지 목간의 새로운 판독」(함순섭, 『신라문물연구』 창간호, 2007)
「안압지 출토 목간으로 본 신라의 궁정업무」(이문기, 『한국고대사연구』 39, 2005)
「신라 통일기 왕실의 촌락지배」(윤선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統一新羅の傳達體系と'北海通」(이용현, 『朝鮮學報』171, 1999)
「韓國出土の木簡について」(이성시, 『木簡硏究』 19, 1997)
「新羅と百濟の木簡」 (이성시, 『木簡が語る古代史』上, 吉川弘文館, 1996)
「안압지에서 출토된 신라목간에 대하여」(이기동, 『경북사학』 1, 1979)
집필자
한준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