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해자 출토 목간 ( )

고대사
유물
1985년부터 1986년까지 경주시 소재 월성 해자에서 발견된 신라통일기의 목간.
이칭
이칭
월성해자목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85년부터 1986년까지 경주시 소재 월성 해자에서 발견된 신라통일기의 목간.
개설

1985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현,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의 경주고적발굴조사에서 시행한 월성해자 발굴과정에서 출토된 신라 통일기 무렵의 목간 21점을 말한다. 목간은 월성해자의 뻘층에서 발견되고 있어 목간 폐기장소로 월성해자가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

월성해자 출토목간은 안압지 출토목간과 달리 시기를 알 수 있는 절대연대가 표기되어 있지 않아 함께 출토되는 유물들의 연대추정을 통해 제작이나 활용 시기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2호 목간에는 '전대등(典大等)'이 기록되어 있다. 전대등은 품주(稟主)의 전신으로 진흥왕 26년(565)에 설치되어 진덕여왕 5년(651)에 집사부로 개칭된 바 있어 목간이 사용되었던 시간영역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외에도 해자에서 출토된 토기와 수막새 기와 등을 통해 볼 때 목간은 대략 5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까지의 시기에 제작 및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목간 중 주목받는 것은 2호목간으로 묵서자체가 선명하게 남아 있어 당시 문서행정의 일단을 보여준다. 묵서 내용중 '대오지랑(大烏知郞)'이라는 관등명은 제15관등인 대오를 가리키는 것으로 목간의 연대를 단양적성비(550년경) 단계로 추정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월성해자 출토목간은 대체로 문서목간, 부찰목간, 습서목간 등으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현황

1990년대 중반 보존처리가 완료된 이후 적극적인 판독과 고찰이 이어졌으며, 출토지와 묵서내용을 통해 고대 일본의 목간과도 비교를 하여 변화상을 도출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의의와 평가

월성해자 출토목간은 신라 통일기 무렵의 문서행정을 이해하는 서사자료로서 높은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신라 목간의 세계』(이경섭, 경인문화사, 2013)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윤선태, 주류성, 2007)
『한국의 고대목간』(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4)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권덕영, 학연문화사, 2002)
『문자로 본 신라-신라인의 기록과 필적-』(국립경주박물관, 2002)
『한국고대금석문자료집』 Ⅲ(국사편찬위원회, 1995)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Ⅲ(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한국상대고문서자료집성』(이기백, 일지사, 1987)
『월성해자시굴조사보고서』(문화재연구소 경주고적발굴조사단, 1985)
「목간류」(이용현, 『월성해자 발굴조사보고서Ⅱ(거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6)
「경주 월성해자 목간」(이용현, 『한국목간기초연구』, 신서원, 2006)
「월성해자 출토 신라 문서목간」(윤선태, 『역사와 현실』 56, 2005)
「韓國出土の木簡について」(이성시, 『木簡硏究』 19, 1997)
「新羅と百濟の木簡」(이성시, 『木簡が語る古代史』 上, 吉川弘文館, 199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