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덕왕릉비 ()

경주 신라 흥덕왕릉비 귀부
경주 신라 흥덕왕릉비 귀부
고대사
유물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에서 발견된 신라 제42대 흥덕왕(826~836)의 능비편.
이칭
이칭
흥덕왕릉비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에서 발견된 신라 제42대 흥덕왕(826~836)의 능비편.
개설

1937년 처음 비편이 발견된 이후 1977년까지 비편 59개가 수습되었다.

내용

흥덕왕릉비의 제작연대는 흥덕왕이 죽은 836년 쯤으로 추정되며, 구양순의 해서체로 되어 있다. 1957년 발견된 비편에서 예서체로 '흥덕(興德)'이라 쓰여진 부분이 판독되어 제액으로 보고 있다. 비문은 각 행에 2~3자 정도이고, 문맥상 연결이 되지 않아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기는 힘들다.

비편 가운데 '貿易之人'이라는 글자가 확인되어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추정하는 데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장보고의 청해진 설치(828) 등 대외교역이 활발하게 전개되던 사회분위기와 무관치 않기 때문이다. 또한, 비편에 새겨진 '太祖 星漢'이라는 비문을 통해 신라 중대의 왕실이 성한을 자신들의 시조로 모셨음을 알 수 있고, 흥덕왕의 생몰년과 책봉시기 등을 알 수 있다.

현황

추가적인 발굴이나 발견이 없고, 비문의 해독 역시 큰 진전은 기대하기 어렵다.

의의와 평가

비의 귀부(龜趺)만 남은 채 비편이 산발적으로 발견되었지만 비문을 통해 비석의 주인공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더한다.

참고문헌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권덕영, 학연문화사, 2002)
『역주한국고대금석문』 Ⅲ(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한국금석유문』(황수영, 일지사, 1976)
「신라 흥덕왕대의 정치와 사회」(이기동, 『국사관논총』 21, 1991)
「신라 흥덕왕릉비단석기」(민영규, 『역사학보』 17 · 18, 1962)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www.gsm.nricp.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