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항 관문 ( )

고대사
지명
신라 경덕왕대(757) 탄항(원산 부근)에 설치한 국경 수비 관문.
정의
신라 경덕왕대(757) 탄항(원산 부근)에 설치한 국경 수비 관문.
개설

발해가 무왕대에 팽창을 지속하자 신라 성덕왕대에 그에 대비하고자 국경지대에 장성을 축조한 바 있는데, 경덕왕대에 이곳에 관문을 설치함으로써 적대적 관계로 일관하던 양국이 교류의 관계로 전환했음을 보여준다.

명칭 유래

일반적으로 관문은 국경이나 요충지에 설치되는 군사방어시설이다. 그런 의미에서 탄항관문 역시 '탄항'이라는 지리적 요충지에 설치되어 이름붙은 것으로 보인다.

자연환경

강원도 원산 지역은 강원도 동해안로와 철원을 통과하는 내륙으로 갈라지는 분기점이므로 이 지역이 국경에 더하여 교류 창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형성 및 변천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는 성덕왕 20년(721)에 "하슬라 지역의 장정 2천명을 징발하여 북쪽 국경에 장성을 쌓았다"고 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강원도 고성군에도 "신라 성덕왕 3년에 하슬라도 장정들을 징발하여 북계에 장성을 쌓았다"고 되어 있다. 두 기록에 약간의 시간 차이는 성덕왕대라는 공통된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장성 축조는 사실로 보인다.

장성의 축조는 당시 발해의 팽창에 대비한 것으로 경덕왕대 관문을 설치함으로써 양국간 군사적 대치관계에서 평화적 교류의 움직임도 있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발해의 5개 주요 교통로 가운데 '신라도(新羅道)'가 남경남해부에서 신라의 정천군까지 39개역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원성왕 6년(791)에 일길찬 백어, 헌덕왕 4년(812)에 급찬 숭정이 사신으로 파견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이들이 이를 통해 왕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황

관련 유적이 발굴되거나 확인된 적은 없다.

참고문헌

『발해의 정치외교사』(김종복, 일지사, 2009)
『통일신라의 북방진출 연구』(조이옥, 서경문화사, 2001)
「8~9세기 신라의 북방경영과 축성사업」(조이옥, 『신라문화』 34, 2009)
집필자
한준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