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경성 2호 절터 ( 절터)

목차
고대사
유적
중국 흑룡강성 목단강시 영안시(寧安市) 발해진(渤海鎭)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사찰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흑룡강성 목단강시 영안시(寧安市) 발해진(渤海鎭)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사찰터.
내용

발해 상경성2호절터는 1930년대 일본에서 조사한 상경성의 절터 가운데 하나이다. 1939년 간행된 『동경성발해국상경용천부의 발굴조사(東京城渤海國上京龍泉府の發掘調査)』의 전도(全圖)에서는 ‘Ⅵ’로, 본문에서는 1사지로 구분되었다. 1960년대 북한과 중국의 공동조사단인 조중공동고고발굴대(朝中共同考古發掘隊)의 조사에서 ‘2’로 번호가 붙여졌다.

청대에 석불사(石佛寺), 흥륭사(興隆寺)로, 근대에는 남대묘(南大廟)로 불렸다. 현재는 흥륭사로 불리며, 입구에 ‘당 발해국 불교문화박물관(唐渤海國佛敎文化博物館)’이라는 간판을 달고 있다. 입구에 들어서면 다시 남문이 나오고, 남쪽에서 북쪽으로 4채의 불당이 직선으로 늘어서 있다.

본당 앞에는 발해 시기의 것으로 보이는 현무암으로 만든 팔각형 석등이 있다. 석등의 높이는 약 6m이고, 받침대, 기둥, 불집과 머리 네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석등 받침대 아래에는 바닥돌을 깔았다. 받침대 옆면은 반쯤 핀 연꽃의 옆모습을 음각하였다. 기둥돌은 배흘림형식으로, 그 아래위에 세 겹의 연꽃잎을 풍성하게 둘러 장식하였다. 불집은 팔각정자 형태이며, 8면에 모두 장방형의 창을 내었다. 지붕은 서까래, 평고대, 곱새기와까지 매우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머리부분에는 복발, 보륜, 수연, 보개 등이 남아 있다.

본당 안에 안치된 석불 좌상은 발해 시기의 것으로 보기도 하나, 후대의 것으로 보는 설도 있다. 사찰 한쪽에는 발해시기 기와, 전돌, 초석, 기단돌 등이 많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발해의 유적과 유물』(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발해문화』(주영헌, 사회과학원, 1971)
『渤海遺跡』(朱國枕‧朱威, 文物出版社, 2002)
『東京城 渤海國上京龍泉府址の發掘調査』(東亞考古學會, 東方考古學叢刊 甲種第5冊, 1939)
「발해 상경성 불교사원지의 건립연대와 불상 봉안의 복원」(양은경, 『동북아역사논총』 27, 2010)
「寧安興隆寺大雄寶殿基址發掘」(陶剛, 『北方文物』, 199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