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 3·1운동 ( )

근대사
사건
1919년 3월 1일부터 4월 초순에 걸쳐 함경남도 원산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9년 3월 1일부터 4월 초순에 걸쳐 함경남도 원산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
내용

원산에서는 3월 1일 서울과 동시에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3․1운동 사전 모의에 참가했던 남촌동(南村洞) 남감리교회 목사 정춘수(鄭春洙)가 계획한 시위였다. 서울로부터 온 특사에게 독립선언서 300매를 받은 후 2월 28일 밤에 교인들을 모아 태극기를 만들고, 시위 대열을 인도할 책임자를 정했다. 함흥에도 사람을 보내 시위 계획과 독립선언서를 전했다.

3월 1일은 원산의 장날이었다. 오후 2시 각 교회에서 만세 시위를 알리는 종이 일제히 울렸다. 13명의 주동자들은 각각 예정된 장소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군중과 함께 장촌동(場村洞) 시장으로 행진했다. 시위 군중은 소방 호스로 물감을 뿌리고 공포를 쏘아대는 경찰에 맞서 어두워질 때까지 시위를 벌였다. 이날 만세 시위에는 약 2000명이 가담했다. 현장에서 체포된 사람은 50명에 달했다.

시위 주동자들이 기소된 사실이 알려진 3월 18일, 분노한 주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면서 만세 시위가 다시 일어났다. 순식간에 천도교인을 비롯하여 1000여 명이 모여 시위행진을 벌였다.

4월 5일에는 김진수(金鎭洙)의 주동으로 상점들이 일제히 문을 닫는 철시 투쟁이 일어났다. 무언의 독립 시위를 벌인 것이다.

의의와 평가

원산의 삼일운동은 기독교계에서 주도를 했으며, 3월 1일부터 4월 초까지 오랜 기간 지속되었다. 원산의 만세 운동은 3월 1일에 서울과 동시에 일어남으로써 함경남도 각 지역의 만세 시위를 촉발하는 자극제 역할을 했다는 점에 특히 의미를 둘 수 있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자료집』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독립운동사자료집』 6(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3·1운동Ⅰ-중부·북부』(김정인·이정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독립운동사』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집필자
김정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