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3·1운동 ( )

근대사
사건
1919년 3월 1일부터 4월 초순에 걸쳐 평안남도 평양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9년 3월 1일부터 4월 초순에 걸쳐 평안남도 평양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
내용

평양에서는 3월 1일 서울과 동시에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기독교인의 만세 시위는 민족대표 33명 중의 1명인 이승훈(李昇薰)의 주도로 준비되었다. 천도교인의 만세 시위는 서울 천도교중앙총부로부터 독립선언서를 전달받아 준비되었다. 당일 장로교회인 장대현교회 앞 숭덕학교 교정에서는 김선두(金善斗) 목사를 비롯한 장로교인들이, 감리교회인 남산현교회 뜰에서는 박석훈(朴錫勳) 목사를 비롯한 감리교인들이, 설암리 옛 대성학교 뒷자리에 자리한 천도교구에서는 천도교인들이 각각 독립선언식을 하고 시내로 행진하여 합류했다.

시위 군중은 시간이 갈수록 점점 늘어났다. 군중에게는 선언서와 태극기가 공급되었다. 상인들도 철시하고 시위에 가담했으며, 보통학교 학생들도 합류했다. 여기에 학교별로, 동네별로 조직된 시위 군중이 시내로 진출하면서 오후 7시 경에는 낮의 배나 되는 군중이 평양경찰서 앞에 모여들었다.

시위 군중이 경찰의 발포로 해산한 후에도 시내 곳곳에서 산발적인 만세 시위가 계속되었다. 다음날부터 경찰은 30여 명의 목사를 체포하는 등 검거 선풍을 일으켰다. 평양 시내에는 무장한 군인들이 배치되었다. 이러한 공포 분위기 속에서도 3월 2일부터 9일까지 크고 작은 시위가 매일 벌어졌다. 3일에는 여학생들이 주도한 시위가 일어났다. 4일에는 평양 시내 중등학교 학생들이 만세 시위를 일으켰다. 6일에는 장수원, 태평리, 현교리, 평천리, 오야리 등에서 연인원 1만여 명이 만세 시위에 참여했다. 3월 26일과 4월 1일에도 만세 시위가 이어졌다.

의의와 평가

평양의 삼일운동은 서울과 같은 날짜인 3월 1일에 발발하였다. 기독인과 천도교인이 서울에서의 시위 계획에 맞추어 각각의 조직을 총동원하여 일으킨 연합시위였다. 시위 인원 1만여 명, 목사만 해도 30여 명이 체포될 정도로 대규모였고, 발포는 물론 시내에 무장 군인이 배치될 정도로 격렬했다. 평양의 만세운동은 3월 1일부터 4월 1일까지 1달에 걸쳐 일어났으며 평양의 전 지역이 만세 물결에 휩싸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자료집』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독립운동사자료집』 6(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3․1운동Ⅰ-중부·북부』(김정인·이정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독립운동사』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집필자
김정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