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이래 깨달음을 얻은 성자들의 4가지 수행 단계[向] 및 도달 경지[果]를 가리킨다. 사도사과, 사향사득, 사쌍팔배, 사과향, 팔보특가라, 팔현성, 팔성, 팔배라고도 한다. 사향은 예류향, 일래향, 불환향, 아라한향이고, 사과는 예류과,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이다. 예류향은 성자가 되는 최초의 깨달음의 순간으로 견도(見道)라고 한다. 예류과에서 아라한향까지는 번뇌를 제거하는 수행하는 단계로 수도(修道)라 한다. 마지막 아라한과는 더 이상 수행할 것이 없다는 의미로 무학도(無學道)라 한다. 사향사과의 전통은 현재 테라와다 불교에서 전하고 있다.
사향사과(四向四果)는 초기불교 이래 깨달음을 얻은 성자들의 수행 단계〔向〕 및 도달 경지〔果〕를 말한다. 예류(預流)〔수다원(須陀洹)〕, 일래(一來)〔사다함(斯陀含)〕, 불환(不還)〔아나함(阿那含)〕, 응공(應供)〔 아라한(阿羅漢)〕의 네 성자가 각각 향(pratipannaka, paṭipannaka)과 과(phala)로 쌍을 이루는데, 여기서 향은 도(道, magga)라고도 한다. 사향사과는 사도사과(四道四果), 사향사득(四向四得), 사쌍팔배(四雙八輩), 사과향(四果向), 팔보특가라(八補特迦羅), 팔현성(八賢聖), 팔성(八聖), 팔배(八輩)라고도 한다.
초기경전에서 붓다의 제자〔聲聞〕들 가운데 성자가 된 제자들을 네 쌍의 여덟 무리〔四雙八輩〕로 불렀다. 이들이 사향사과이다. 부파불교에서는 붓다의 제자들이 도달할 수 있는 성자의 최고 경지가 아라한이었고 아라한이 되는 길에 대해서 세밀한 설명을 제시한다. 설일체유부에서는 독특한 수행론과 번뇌론에 근거해서 사향사과를 점진적인 깨달음으로 설명하고 있고, 테라와다에서는 지혜의 성숙단계에 따른 사향사과를 설명하고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사향사과의 깨달음을 추구하는 제자를 성문승(聲聞乘) 또는 소승(小乘)이라고 하여, 붓다가 되는 보살승(菩薩乘)과 대비시킨다. 그리고 아라한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붓다의 깨달음을 추구하는 보살승(菩薩乘)이 진정한 붓다의 가르침이라고 강조한다.
사향은 예류향〔śrotāpatti-pratipannaka(범어. 이하 범으로 표기), sotāpatti-paṭipannaka(팔리어. 이하 팔로 표기)〕, 일래향〔sakṛdāgāmini-pratipannaka(범). sakadāgāmi-paṭipannaka(팔)〕, 불환향〔anāgāmi-pratipannaka(범), anāgāmi-paṭipannaka(팔)〕, 아라한향〔arhat-pratipannaka(범), arahatta-paṭipannaka(팔)〕이다. 사과는 예류과〔śrotāpanna(범), sotāpanna(팔)〕, 일래과〔sakṛdāgāmi-phala(범), sakadāgāmi-phala(팔)〕, 불환과〔anāgāmi-phala(범 · 팔)〕, 아라한과〔arhat-phala(범), arahatta-paṭipannaka(팔)〕이다.
사향은 사과라는 깨달음의 결과에 도달하는 원인이 되는 깨달음의 순간을 의미한다. 예류향은 성자가 되는 최초의 깨달음의 순간으로 견도(見道)라고 하며, 예류과에서 아라한향까지는 남은 번뇌를 제거하는 수행을 하는 단계인 수도(修道)라고 한다. 마지막 아라한과는 더 이상 수행할 것이 없다는 의미로 무학도(無學道)라고 한다. 사향사과의 체험에서 생겨나는 지혜와 끊어지는 번뇌가 있다. 각 성자의 새롭게 제거된 족쇄〔번뇌〕와 남아 있는 윤회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성자의 분류 | 새롭게 제거된 족쇄(번뇌) | 남아있는 윤회의 종류 |
---|---|---|
예류(預流) 수타원, 소따빤나 |
변치 않는 자아가 있다는 견해(有身見), 의심, 계율이나 의식에 대한 집착 |
인간과 욕계 천상에 최대 7번 윤회 사악도(지옥, 아귀, 아수라, 축생)에 떨어지지 않음 |
일래 (一來) 사다함, 사까다가미 |
새로운 근절 없음. 탐욕, 분노, 무지의 엷어짐 |
욕계(도솔천 등)에 한 번 윤회 |
불환 (不還) 아나함, 아나가미 |
감각적 욕망과 악의(惡意) | 색계 (정거천)에 즉시 태어남(化生) |
응공 (應供) 아라한, 아라하따 |
색계(色界)에 대한 갈망, 무색계(無色界)에 대한 갈망, 아만, 들뜸, 무지 |
없음 윤회에서 완전히 벗어남 |
〈표〉 |
예류과의 증득에 이르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제자는 예류에 들도록 이끄는 “네 가지 요소”를 닦아야 한다. 지혜롭고 덕 있는 참된 사람〔스승〕을 섬길 것, 정법〔참된 법〕을 배울 것, 지혜롭게 주의를 기울임〔如理作意〕, 윤리〔戒〕 · 집중〔定〕 · 지혜〔慧〕의 세 가지 실천〔三學〕을 닦음으로써 성자의 법에 이르게 하는 수행을 하는 것이다.
예류가 된 성자는 네 가지 덕목을 갖춘다. ①붓다, ②담마, ③상가에 대한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의 확립, ④성인에게 친숙하고 집중에 도움이 되는 도덕적 덕목인 다섯 가지 윤리〔五戒〕를 굳게 지키는 것이다. 법의 진리를 보고 나서, 예류는 남아있는 번뇌를 없애기 위해서 더욱 통찰을 길러 다음의 이정표인 일래를 깨닫는 것이다.
일래의 단계는 탐욕 · 분노 · 무지라는 세 가지 번뇌의 뿌리를 뽑을 정도로 약화시켜 도솔천 등 욕계에 한 번만 윤회하여 괴로움의 종식을 이룬다. 예류 혹은 일래를 얻은 제자는 다음의 두 단계인 불환과 아라한으로 나아갈 수 있다. 불환의 단계는 다섯 가지 낮은 족쇄의 소멸을 통해 도달하고, 다섯 가지 높은 족쇄만을 남겨 놓는다. 아라한이 되면 무지를 뿌리로 하는 모든 번뇌가 소멸된다.
사향사과의 성자의 전통은 현재 테라와다 불교에서 전하고 있다. 아라한이 되는 길이 붓다가 가르친 길이며, 그 길을 충실하게 따르는 전통이 동남아시아에서 전해오고 있다. 대승에서 폄하한 소승이 테라와다 전통이라고 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붓다뿐만 아니라 아라한〔無學〕, 그리고 배움이 있고 덕이 있는 성자가 된 제자들〔有學〕도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서 활동하고, 세상을 위한 연민에서 삶을 살고 있으며, 주변 사람들과 인간은 물론 천신들의 행복과 선과 안녕을 위해서 법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테라와다를 소승이라고 부르는 것은 문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