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화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만주와 국내에서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0년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충청북도 보은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2013)
내용 요약

이중화는 일제강점기 만주와 국내에서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이다. 3·1운동 이후 러시아 빨치산 대장 메리코포스코의 통역관으로 활동하면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원과 교유하였으며, 이후 만주에서 독립운동 군자금 모금 활동을 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만주와 국내에서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이중화(李重華)는 1880년 충청북도 보은에서 출생하였다.

주요 활동

1919년 1월경부터 러시아 유격대 대장 메리코포스코의 통역이 되어 주1이동휘(李東輝)와 연락하는 한편,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원과 교류하였다. 1920년 12월 24일 중국 안동현(安東縣)에서 임시정부 요원 김판이(金判伊)를 만나 국내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기로 협의한 뒤, 같은 달 29일 김판이와 함께 안동현을

경성부(京城府)주2로 잠입한 후 1921년 5월 중순경까지 모의 폭탄을 제조하는 한편,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주3 증서 1,000원권, 500원권, 100원권 등 총 7,600원 상당의 증서와 임시정부 재무총장 이시영(李始榮) 명의의 수령서 10매를 휴대하고 경상남도 밀양으로 향하였다.

밀양에 도착한 후 북면(北面) 사포리(沙浦里) 거주 박수엽(朴秀燁), 북면 대순리(大順里) 거주 박병목(朴炳穆)으로부터 각 2회, 북면 퇴로리(退老里) 거주 이병규(李炳圭)로부터 1회, 산외면(山外面) 금천동(琴川洞) 거주 손진원(孫振遠)으로부터 3회, 산외면 남기리(南沂里) 안종엽(安鍾燁)으로부터 1회에 걸쳐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또한, 동지 손형로(孫亨魯)에게 북면 퇴로리 거주 이재형(李載亨)에게 군자금을 모집하게 하는 등 3,000여 원의 군자금을 모집하여 음력 7월경 김판이에게 전달하여 임시정부로 보냈다.

그 뒤 대구와 밀양을 오가며 김판이의 귀환을 기다리던 중, 1921년 10월 21일 대구 대화정(大和町)에서 대구경찰서 형사에게 체포되었다. 1922년 2월 2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강도 · 폭발물 벌칙 위반, 대정(大正) 8년 제령(制令) 제7호 위반 등으로 징역 8년 형을 받고 공소하였으나, 같은 해 3월 3일 공소 취하로 옥고를 치렀다.

상훈과 추모

2013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운동사자료집』 제9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5)

신문

『독립신문』(1921. 11. 19.)
『매일신보』(1921. 11. 10.)
『동아일보』(1921. 11. 6.)

판결문

판결문(대구지방법원, 1922. 2. 21.)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주석
주1

중국 길림성(吉林省)의 동남부 지역. 두만강 유역의 동간도와 압록강 유역의 서간도를 통틀어 이른다. 일제 강점기에 우리나라 사람이 많이 살았다.    우리말샘

주2

일제강점기에, 서울 지역에 둔 행정 구역. 총독부령(總督府令)에 의하여 1910년 10월 1일자로 이전의 한성부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3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독립운동 자금 조달을 위하여 발행한 공채.    우리말샘

집필자
성주현(1923 제노사이드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