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완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3·1운동과 상하이 임시정부 참여 등 항일 운동을 전개한 승려.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1년
사망 연도
1951년
출생지
경기도 수원
주요 경력
승려|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 강원도 특파원|철원애국단원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1995)
관련 사건
철원애국단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신상완은 경기도 수원 출생으로, 일제강점기 3·1운동 당시 불교계의 독립선언서 배포와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3·1운동 이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 강원도 특파원, 철원애국단원 등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정의
일제강점기 3·1운동과 상하이 임시정부 참여 등 항일 운동을 전개한 승려.
인적 사항

신상완(申尙玩)은 1891년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하였으며, 중앙학림(中央學林)에서 수학하였다.

주요 활동

불교계 학교인 중앙학림의 학생 대표로 활동하면서 김법린 등과 함께 유심회(惟心會)를 조직하고 회장으로 선출되어 민족의식과 불교 대중화를 위해 진력하였다. 1919년 3 · 1운동 당시 민족 대표 만해 한용운(韓龍雲)으로부터 독립선언서를 전달받고, 유심회 회원인 박민오(朴玟梧) 등을 소집하여 3 · 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지시받고, 불교계의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다.

3 · 1운동 직후 일제 경찰의 검거를 피해 유심회 회원인 김상헌(金祥憲)과 함께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 투신하였으며, 안창호(安昌浩)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 한편, 불교 승려들의 비밀결사인 승려의용군의 조직을 주도하였다.

1919년 8월경 귀국 후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부 강원도 특파원으로 임명되었다. 임시정부 특파원 이성춘(李成椿)으로부터 10월 3일을 기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조직을 축하하는 제2의 만세운동을 실행하라는 인쇄물을 받고, 9월 중순경 강원도 철원의 신환균(申桓均), 원주의 감리교회 목사 조윤여(趙潤如), 춘천의 유한익(劉漢翼) 등을 찾아가 제2 독립시위 계획을 준비하였다. 이어 대한독립애국단(大韓獨立愛國團) 강원도단(江原道團)의 강대려(姜大呂)를 만나 대한민국임시정부 조직 축하 시위 계획을 전달하고 10월 철원 지역을 중심으로 시위운동을 전개하는 데 역할을 하였다. 그후 다시 상하이로 건너간 뒤 11월 14일 여운형(呂運亨)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갔다.

1920년 2월 서울로 돌아와 함경남도 안변(安邊)의 석왕사(釋王寺) 승려 김태흡(金太洽) · 강청월(姜淸月) 등으로부터 군자금을 모집하여 임시정부에 보냈다. 4월에는 강원도 고성의 건봉사(乾鳳寺) 승려 정인목(鄭仁牧) 등과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다가 1920년 봄 이른바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다. 1920년 12월 23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 및 정치범죄처벌령 등 위반으로 징역 5년 형을 받고 공소하였으나,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되어 경성감옥(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1923년 5월 가출옥되었다.

상훈과 추모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獨立運動資金 募集者 檢擧의 件」(조선총독부 경무국, 1919. 12. 5.)

논문

김광식, 「3·1운동과 불교」(『한국기독교와 역사』 47,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신문

『매일신보』(1923. 5. 26.)
『동아일보』(1923. 5. 23.)
『매일신보』(1921. 3. 15.)
『매일신보』(1921. 3. 1.)
『매일신보』(1921. 1. 19.)
『매일신보』(1920. 12. 24.)
『매일신보』(1920. 12. 14.)
『매일신보』(1920. 11. 21.)
『매일신보』(1920. 11. 19.)

판결문

판결문(경성지방법원, 1920. 12. 23.)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집필자
성주현(1923 제노사이드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