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순호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1939년 2월 조직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 입대하여 한중 합동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으며,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이 창립되자 참가하여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22년 1월 22일
사망 연도
2009년 7월 30일
본관
고령(高靈)
출생지
충청북도 청원(지금의 청주시)
주요 경력
한국광복군
대표 상훈
건국포장(1977)|건국훈장 애국장(1990)
내용 요약

신순호는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1939년 2월 조직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 입대하여 한중 합동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으며,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이 창립되자 참가하여 활동한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에 참석하였으며, 임시정부 생계위원회 회계부를 거쳐 1945년 초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심리작전연구실에서 방송을 통한 선전 활동을 전개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1939년 2월 조직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 입대하여 한중 합동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으며,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이 창립되자 참가하여 활동한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신순호(申順浩)는 1922년 1월 22일 서울에서 신건식(申健植, 이명 신환)과 오건해(吳健海)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신규식(申圭植)의 조카이기도 하다.

주요 활동

신순호는 1926년 3월 중국 상하이로 건너갔다. 1939년 2월 주1〔廣西省〕 주2〔柳州〕에서 조직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韓國光復陣線線靑年工作隊)에 참여하여 항일연극과 강연, 합창, 그리고 전단을 배포하는 등 반일 사상을 고취하고, 초모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는 류저우 각계의 지지와 중국 항전 예술단체의 협조 아래 3 · 1절 기념공연과 중국 부상병을 위한 위로금 모금공연 등을 하였다. 청년공작대의 항일 공연예술 활동은 중국 측에 한 · 중 연대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인식하게 하였고, 한국 고유의 정서와 특색을 담긴 공연을 선보여 중국인 관객들 앞에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드러내 보였다. 또한, 향후 중국 측과의 우호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39년 5월 신순호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과 가족들은 주3〔四川省〕 기강(綦江)에 도착하여 머물렀는데, 남자 67명, 여자는 신순호를 포함하여 40명 등 총 107명이었다. 기강현 정부에서는 한교등기잠행판법(韓僑登記暫行辦法)을 제정하여 한인(韓人)들에게 거주 신청서를 작성 제출하게 하였고, 등록증을 발급하였다. 임시정부 요인 및 가족들은 대부분 상승가(上昇街) 진가공관(陳家公館)에 머물렀고,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의 남자 대원들은 기강현의 산 위에 있는 관음암(觀音庵)에 거처하였다.

1940년 9월 17일 주4〔重慶〕의 가릉빈관(嘉陵賓館)에서 개최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에 참석하였고, 1942년 9월에는 임시정부 생계위원회(生計委員會) 회계부에 파견되어 근무하였다. 1943년 12월 12일 충칭의 임시정부 강당에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서 같이 활동하였던 박영준(朴英俊)과 결혼하였다.

1944년 3월 15일 한국독립당에 입당하였다. 한국독립당은 1940년 5월 9일 한국국민당, 재건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 등이 통합되어 창당한 정당이다.

1945년 1월 8일 임시정부 외무부 정보과 과원으로 임명되었고, 1945년 초 한국광복군 총사령부에 설치된 심리작전연구실에서 김정숙(金貞淑) · 민영주(閔泳珠) · 지복영(池福榮) 등과 방송을 통한 선전 활동을 펼쳤다. 방송을 통한 선전 활동은 임시정부 선전부가 중국 주5 선전부 대적선전위원회와 합작하여 1944년 2월부터 한국어 방송을 실시하자 한국광복군에서도 이를 이용하여 전개하였다.

부모와 시부, 남편과 함께 한인 동포의 귀국 업무를 담당하다가 1948년 4월에 귀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지복영, 『민들레의 비상: 여성 한국광복군 지복영 회고록』(민족문제연구소, 2015)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35: 한국국민당 I)(국사편찬위원회,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34: 한국독립당 II)(국사편찬위원회,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16: 외무부』(국사편찬위원회, 2007)
김광재, 『한국광복군』(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6: 임시의정원 V』(국사편찬위원회, 2005)
박영준, 『한강물 다시 흐르고』(한국독립유공자협회, 2005)
한시준, 『한국광복군 연구』(일조각, 199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6: 독립군전투사』 하(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5)
『독립유공자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논문

오은아,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의 결성과 항일공연예술활동」(『한국근현대사연구』 87,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한시준, 「여성광복군과 그들의 활동」(『사학지』 37, 단국대학교 사학회, 2005)

신문

김형목, 「경기도 부부 독립운동가를 찾아서: 한국광복군 박영준‧신순호 부부」(『경기일보』, 2021. 9. 17.)

인터넷 자료

충북 여성독립운동가(https://www.chungbuk.go.kr/cbwia/index.do)
주석
주1

중국 서남부에 있는 성. 뒤에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가 되었다. 목재와 임업 생산물의 주요 산지이다. 철도와 고속 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며 지역 전반에 걸쳐 수상 운송 체제가 정교하게 발달되어 있다. 면적은 32만 7408㎢.    우리말샘

주2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중앙부에 있는 상공업 도시. 수륙 교통의 중심지이며, 목재의 집산지이다. 제재, 제지, 황산, 주정(酒精) 따위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3

중국 양쯔강(揚子江) 상류에 있는 성. 비옥한 쓰촨 분지가 펼쳐져 있으며, 쌀과 차[茶]를 많이 생산한다. 성도(省都)는 청두(成都), 면적은 48만 8000㎢.    우리말샘

주4

중국 남서부에 있는 중앙 직할시. 양쯔강(揚子江)과 자링강(嘉陵江)의 합류점에 위치한다. 제이 차 세계 대전 때에 국민 정부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5

1919년에 삼민주의(三民主義)를 정강(政綱)으로 하여 쑨원(孫文)을 중심으로 결성된 중화민국의 정당. 1926년부터 장제스(蔣介石)가 북벌을 실행하여 1927년 난징(南京)에 국민 정부를 수립하였으며, 제이 차 세계 대전 후 공산당과의 내전에서 패하여 1949년에 정부를 타이완으로 옮겼다. 중국 국민 정부의 중심 세력을 이루었다.    우리말샘

집필자
윤선자(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