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운학에서는 성모(聲母), 즉 음절 초 자음의 발음 방법에 입각하여 몇 가지 기준을 두고 분류하였다. 먼저 기류가 발음 기관을 통과하면서 받는 장애 상태와 그 장애를 해결하는 상황에 따라 ‘성모’를 ‘발성(發聲)’, ‘송기(送氣)’, ‘수성(修聲)’의 특징에 따라 나누었다. 이 가운데 ‘발성’은 성대를 진동하면서 내는 폐쇄음인 ‘b, d, g’ 등을 말하고, ‘송기’는 공기를 입 밖으로 내보내면서 만드는 폐쇄음이나 마찰음인 ‘p, t, k, f, s, h’ 등을 말한다. ‘수성’은 ‘유음’인 ‘l’, 비음인 ‘ m, n, ŋ’, 반모음’인 ‘j, w’ 등을 말한다.
성운학에서는 또한 성모, 즉 자음을 발음할 때 성대를 울리게 하는 ‘유성음’과, 성대를 울리지 않고 발음되어 나오는 ‘무성음’으로 나누었다. 그리하여 전자를 ‘탁음(濁音)’, 후자를 '청음(淸音)’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청탁(淸濁)은 중국 성운학에서 발음 방법에 입각하여 성모를 분류한 소리의 부류를 말하는데, 성대를 울리며 발음되는 ‘유성음’을 가리키는 ‘탁음(濁音)’과, 성대를 울리지 않고 발음되는 ‘무성음’을 가리키는 ‘청음(淸音)’, 즉 무성음과 유성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중국 성운학에서는 ‘청음’과 ‘탁음’을 다시 소리의 성질에 따라 더 세분화하여, ‘청음’은 ‘전청(全淸)’과 ‘차청(次淸)’으로 나누고, 탁음은 ‘전탁(全濁)’과 ‘차탁(次濁)’으로 나누었다. 여기에서 ‘전청’과 ‘차청’은 ‘청음’의 성모 가운데 기류가 발음 기관 안에서 밀려 나올 때 받는 장애 상태, 이른바 ‘송기(送氣)’와 ‘불송기(不送氣)’의 분류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p]와 [p‘], [t]와 [t‘], [k]와 [k‘] 등의 소리가 여기에 속한다. 이 가운데 전자인 [p], [t], [k]는 불송기의 청음으로서 폐쇄, 마찰, 파찰의 특성을 보이고, 후자인 [p‘], [t‘], [k‘]는 송기의 청음으로서 역시 폐쇄, 마찰, 파찰의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을 그대로 분류하여 불송기의 청음인 전자를 ‘전청’, 송기의 청음인 후자를 ‘차청’이라 하였다. ‘전탁’과 ‘차탁’은 ‘탁음’이 발음을 할 때 기류가 받는 장애의 상황을 기준으로 다시 장애를 심하게 받는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에 속하는 것은 ‘전탁’의 소리로, 장애를 비교적 적게 받는 ‘비음, 유음, 반모음’에 속하는 것은 ‘차탁’의 소리로 나누었다. 이 가운데 ‘차탁’은 운서나 학자에 따라 ‘불청불탁’이라 하기도 하였는데, 『훈민정음』과 『동국정운』에서는 ‘차탁’이란 용어를 쓰지 않고 ‘불청불탁’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