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장 ()

목차
언어·문자
개념
ㆍ, ㅡ에 대립되는 ㅏ와 ㅓ의 음성적 특성으로서 비원순성과 개구도를 아울러 가리키는 『훈민정음』의 술어.
목차
정의
ㆍ, ㅡ에 대립되는 ㅏ와 ㅓ의 음성적 특성으로서 비원순성과 개구도를 아울러 가리키는 『훈민정음』의 술어.
내용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는 초출자 ‘ㅗ, ㅏ, ㅜ, ㅓ’에 대하여 “‘ㅗ’는 ‘ㆍ’와 같지만 ‘구축(口蹙)’의 중성이고, ‘ㅏ’는 ‘ㆍ’와 같지만 ‘구장(口張)’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ㅜ’는 ‘ㅡ’와 같지만 ‘구축’의 중성이고 ‘ㅓ’는 ‘ㅡ’와 같지만 ‘구장’의 중성이다.”라고 하였다. 이어서 재출자 ‘ㅛ, ㅑ, ㅠ, ㅕ’에 대해서도 “‘ㅛ’는 ‘ㅗ’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하고, ‘ㅑ’는 ‘ㅏ’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한다. ‘ㅠ’는 ‘ㅜ’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하고, ‘ㅕ’는 ‘ㅓ’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한다.”고 하였다. 이 설명은 ‘ㅛ, ㅑ, ㅠ, ㅕ’가 ‘ㅣ’에서 시작하는 것을 제하면 각각 ‘ㅗ, ㅏ, ㅜ, ㅓ’와 같다는 말이다. ‘ㅣ’로 시작한다는 것은 ‘ㅛ, ㅑ, ㅠ, ㅕ’가 ‘ㅣ’계 상향이중모음임을 말하므로, 결국 ‘ㅛ, ㅑ, ㅠ, ㅕ’에서 부모음 ‘ㅣ’를 제하면 ‘ㅗ, ㅏ, ㅜ, ㅓ’와 같다는 말이 된다. 그러므로 ‘ㅛ, ㅠ’도 ‘ㅣ’를 제하면 ‘ㅗ, ㅜ’로서 ‘구축’의 성질을 가지며, ‘ㅑ, ㅕ’도 ‘ㅣ’를 제하면 ‘ㅏ, ㅓ’로서 ‘구장’의 성질을 갖는다는 말이다.

이러한 설명에 따르면, ‘ㅗ’와 ‘ㅏ’는 ‘ㆍ’와 같은 계열이고, ‘ㅜ’와 ‘ㅓ’는 ‘ㅡ’와 같은 계열이다. ‘ㅗ, ㅏ’가 ‘ㆍ’와 같은 계열이라 함은 기본자를 설명할 때 사용한 ‘설축(舌縮)’이 같음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위 설명은 ‘ㅏ’는 ‘ㆍ’와 ‘설축’으로 같지만 ‘구장’이라는 점에서 다르고, ‘ㅓ’는 ‘ㅡ’와 ‘설소축’으로 같지만 ‘‘구장’이라는 점에서 다르다고 한 것이다.

그런데 ‘구장’은 한때 개구도를 가리키는 용어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모음체계에서 ‘ㅏ’와 ‘ㅓ’는 ‘ㆍ’와 ‘ㅡ’보다 개구도가 넓은 중모음 정도로 추정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래 ‘설축(舌縮)’을 ‘설근후축(舌根後縮)’으로 보아, ‘혀뿌리가 긴장하여 움츠려진 상태’를 가리키는 용어로 이해하면서 ‘구장’을 개구도로 볼 수는 없게 되었다. 왜냐하면 ‘혀’의 움직임으로 볼 때 후설 쪽으로 갈수록 ‘(설)축’의 정도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개구도의 증대에 따라서도 ‘축’의 증대가 반비례하여 늘어나는 것으로 보아 ‘설축’이 모음도 상에서 사선적으로 달리며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구장’은 ‘ㅏ’와 ‘ㅓ’가 갖는 음성적 특성으로서, 원순모음 ‘ㅗ, ㅜ’와 대비하여 ‘비원순성’을 가리키는 『훈민정음』의 용어로 이해되어 오고 있다. 말하자면 ‘구장’은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 중성 ‘ㅏ’와 ‘ㅓ’가 갖는 음성적 특성으로서, 중국 성운학에서 ‘개구(開口)나, 원순성과 비원순성을 합하여 말한 ‘합벽(闔闢)’의 ‘벽(闢)’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 설명한 ‘구장’과 ‘구축’의 대립 관계를 보면, ‘구장’의 성질을 갖는 ‘ㅏ, ㅓ’가 ‘구장’의 성질을 갖지 않는 ‘ㆍ, ㅡ’와 각각 대립한다고 하였으므로 ‘구장’이 ‘비원순성’만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ㆍ’와 ‘ㅡ’는 ‘ㅏ, ㅓ’와 같이 원순모음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훈민정음』에서는 분명히 ‘구장’의 특성을 갖는 ‘ㅏ, ㅓ’가 ‘구축’의 특성을 갖는 ‘ㅗ, ㅜ’와 대립 관계를 갖는다고 설명한 것이 아니라 ‘구축’의 성질을 갖지 않는 ‘ㆍ, ㅡ’와 대립 관계를 갖는다고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현대 언어학의 자질 중에는 정확하게 대응되는 자질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구장’은 ‘ㆍ’와 ‘ㅡ’에 대립되는 ‘ㅏ’와 ‘ㅓ’의 음성적 특성으로서, 그 대립이 동일한 ‘설축’과 ‘설소축’을 유지하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비원순성’과 ‘개구도’를 아울러 가리키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모음조화의 연구』(김주원,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3)
『국어음운사 연구』(이기문, 탑출판사, 1972)
『국어사개설』(이기문, 개정판, 탑출판사, 1972)
「후기 중세국어의 음운현상과 모음체계」(김주필, 『어문연구』 117,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모음체계와 모음조화에 대한 반성」(김완진, 『어학연구』 14-2,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978)
집필자
김주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