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모방설 ()

목차
언어·문자
개념
훈민정음이 옛 전서체의 한자를 본떠 만든 것이라고 주장하는 훈민정음의 기원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훈민정음이 옛 전서체의 한자를 본떠 만든 것이라고 주장하는 훈민정음의 기원설.
내용

『조선왕조실록』 ‘세종 25년 12월조 기사’에 “언문 28자는 고전을 본떴다(諺文二十八字 其字倣古篆)”라 하였고, 1444년 2월에 ‘최만리 등 집현전 학사들이 올린 상소문’에서도 “글자의 형태는 비록 옛 전문을 본떴지만(字形雖倣古之篆文)”이라 하여 ‘글자는 옛 전자를 본떴다(字倣古篆)’는 구절이 나온다. 이 구절은 흔히 ‘상형(象形)’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나, ‘훈민정음’이 옛 전서체의 한자를 본떠 만든 것이라는 ‘훈민정음’의 기원설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정조 때의 실학자 이덕무(1741∼1793)는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54의 「앙엽기」에서 ‘자방고전(字倣古篆)’을 바탕으로 ‘훈민정음’의 초종성 통용 8자가 모두 고전(古篆)의 형상을 본뜬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들 초종성 통용 8자에 대하여 ‘ㄱ’은 ‘급(及)’ 자, ‘ㄴ’은 ‘익(匿)’ 자, ‘ㄷ’은 ‘방(匚)’ 자, ‘ㄹ’은 ‘기(己)’ 자, ‘ㅁ’은 ‘위(圍)’ 자, ‘ㅂ’은 ‘구(臼)’ 자, ‘ㅅ’은 ‘인(人)’ 자, ‘ㅇ’은 ‘원(圜)’ 자에서 만들었다고 설명하였다.

구한말 시기에 우리나라에 와 있던 캐나다 출신의 선교사인 게일(James. S. Gale)도 이 설을 주장하였다. 그는 ‘ㅗ’는 ‘上’의 전자, ‘ㅜ’는 ‘下’의 전자, ‘ㆍ’는 ‘主’의 전자, ‘ㄹ’은 ‘乙’, ‘ㄴ’은 ‘隱’, ‘ㅅ’은 ‘人’, ‘ㅂ’은 ‘ㅁ’의 고전, ‘ㅏ’는 ‘卜’, ‘ㅇ’은 ‘圓’ 자에 기원한다고 설명한 것이다. 이덕무가 초종성 통용 8자, 즉 초성자에 이 설을 적용하였으나 게일은 중성자에까지 넓혀 이 설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초성과 중성의 제자 방법을 설명한 『훈민정음』을 보지 않은 상태에서 추정한 것으로 간주하여 『훈민정음』이 발견된 이후에는 가볍게 넘기기도 하였으나 근래에 다시 이 설을 주장하는 학자가 나타나 새로운 관점에서 설명하기도 한다.

김완진(1983)은 ‘훈민정음’의 중성(ㆍ, ㅡ, ㅣ,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ㅘ, ㅝ), 초성(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ㆁ), ㅈ, ㅊ, ㅋ, ㅌ, ㅍ, ㅎ, ㅿ 등)의 모양이 옛 전서에서 왔다고 추정하였다. 이 주장에서는 ‘세종 25년 12월조 기사’나 ‘최만리 등 집현전 학사들이 올린 상소문’에는 ‘훈민정음’ 창제에 관해 ‘자방고전’만 나오고 ‘상형’이란 말은 나오지 않다가 「정인지 서문」(1446)에 이르러 ‘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으로 ‘상형’과 ‘자방고전’이 같이 나온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세종 25년의 원안은 ‘자방고전(字倣古篆)’의 원리에 의해 창안되었으나 세종 28년에 반포된 훈민정음 28자는 보다 후대에 ‘상형(象形)’의 원리가 추가되면서 수정과 보완을 거쳐 나왔다고 주장한다.

참고문헌

『훈민정음 연구』(강신항, 수정증보7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음운과 문자』(김완진, 신구문화사, 1996)
『한국 문자 겸 어학사』(김윤경, 동국문화사, 1938)
「훈민정음 제자 경위에 대한 새 고찰」(김완진, 『김철준박사 화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3)
집필자
김주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