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암 ()

목차
관련 정보
재령 묘음사 현암 전경
재령 묘음사 현암 전경
불교
유적
북한 황해남도 재령군 장수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이전에 창건된 암자.
이칭
이칭
달암절
목차
정의
북한 황해남도 재령군 장수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이전에 창건된 암자.
내용

현암(懸庵)은 재령군의 장수산(長壽山)에 있는 사찰이다. 장수산 절벽 위에 매달아 놓은 것처럼 지은 것으로 유명하며, 이로 인해 ‘달암절’이라는 별칭이 생겼다. 사찰의 창건에 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1701년(숙종 27)에 작성된 「묘음사사적기(妙音寺事蹟記)」에는 923년(경명왕 7)에 이엄(利嚴)이 이 절에 머물렀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어 참고가 된다. 이 기록을 고려하면 나말여초의 시기에는 이미 현암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여러 차례 중창이 있었다고 하나 자세한 연혁을 알 수 있는 기록은 없다. 일제강점기에는 패엽사(貝葉寺)의 말사였다. 1975년 북한에서 보수공사를 했다고 하며, 현재 북한의 국보급 제81호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 사찰사전』(이정, 불교시대사, 1996)
『북한사찰연구』(사찰문화연구원, 한국불교종단협의회, 1993)
조선향토대백과(www.ipa.re.kr)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강호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