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래 ()

현대사
인물
대한민국의 인권변호사로, 『전태일평전』의 집필자이자 1980년대 노동 · 여성 · 환경 관련 사건의 변론을 맡았던 인물.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47년 3월 26일
사망 연도
1990년 12월 12일
본관
함안(咸安)
출생지
대구광역시
주요 저서
전태일 평전|진실을 영원히 감옥에 가두어 둘 수는 없습니다
주요 경력
인권변호사
대표 상훈
국민훈장 모란장(2020)
관련 사건
서울대생내란음모사건|민청학련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조영래는 대한민국의 인권변호사로, 『전태일평전』의 집필자이자 1980년대 노동·여성·환경 관련 사건의 변론을 맡았던 인물이다. 1972년 서울대생 내란음모 사건으로 1년 6개월간 복역하고 1974년 민청학련사건으로 6년간 도피 생활을 하는 등 고초를 겪었다. 1983년 시민공익법률사무소를 개설하여 망원동 수재집단의 소송사건, 이경숙사건(여성조기정년제 철폐사건),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상봉동 진폐소송사건 등을 맡았다.

정의
대한민국의 인권변호사로, 『전태일평전』의 집필자이자 1980년대 노동 · 여성 · 환경 관련 사건의 변론을 맡았던 인물.
인적 사항

조영래(趙英來)는 1947년 3월 26일 대구에서 태어나 1953년 대구국민학교에 입학하였고, 5학년 때인 1957년 상경하였다. 서울 수송국민학교, 경기중학교,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1965년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하여 1969년 2월에 졸업하였다. 1990년 12월 12일 폐암으로 사망하였다.

주요 활동

조영래는 경기고 3학년 시절 한일회담 반대 시위를 주동하여 정학처분을 받았고,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해서도 1965년 한일회담 비준 반대 시위와 1967년 6 · 8부정선거규탄시위 등에 앞장섰다.

1970년 11월 13일 평화시장 노동자 전태일분신자살사건이 일어나자 당시 사법시험을 준비하던 조영래는 전태일의 죽음을 사회에 알리는 역할에 나섰다. 11월 20일 서울대에서 열린 전태일 추도식에는 “전태일을 죽인 박정희 정권, 기업주, 어용 노총, 지식인, 모든 사회인 등 5대 살인자”를 고발하는 시국 선언문을 초안하였다.

1971년 사법시험 합격 후 사법연수원 생활을 시작한 그는 11월에 발생한 ‘ 서울대생내란음모사건’에 장기표 · 이신범 · 심재권과 함께 연루되어 구속되었다. 1972년 9월 항소심에서 조영래는 징역 1년 6개월 형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1974년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민청학련사건)에서 배후 인물로 지목되어 수배되었고, 1980년까지 도피 생활을 해야 했다. 1980년 사면 복권된 후 1982년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변호사가 되어 1983년 8월 11일 시민공익법률사무소를 개설하였다. 7년이라는 짧은 기간 변호사 생활을 하였지만, 노동 · 여성 · 환경 관련 사건을 맡아 인권변호사로 활동하였다.

조영래가 맡은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1984년 서울 망원동 수재사건의 집단소송, 1986년 이경숙사건(여성조기정년제 철폐사건), 1986년 부천경찰서성고문사건, 국내 최초의 공해병 피해보상 소송 사건인 1987년 상봉동 진폐소송사건 등이 있다.

학문과 저술 · 사상과 작품

전태일분신자살사건 이후 조영래는 그의 삶을 추적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민청학련사건 배후 인물로 지목되어 도피 생활을 하면서도 전태일의 어머니 이소선을 만나거나, 평화시장을 방문하여 전태일의 삶을 기록하였다. 1974년 장기표로부터 전태일 육필 수기를 전달받은 것을 계기로 『전태일 평전』을 집필하기 시작하였다. 1976년에 『전태일 평전』 원고 집필을 마쳤으나, 유신체제하에서 국내 출판사들이 출간할 엄두를 내지 못하였다. 이 원고는 1978년 일본의 다이마쓰 출판사에서 『불꽃이여 나를 감싸라: 어느 한국 청년노동자의 삶과 죽음』이라는 제목으로 먼저 출간되었다. 한국에서는 1983년 돌베개출판사에서 『어느 청년노동자의 삶과 죽음』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다. 당시 책에 저자명은 ‘조영래’로 기재되지 않았고, ‘전태일기념관건립위원회 엮음’으로 표기되었다.

상훈과 추모

1991년 ‘조영래 변호사를 추모하는 모임’이 유고집 『진실을 영원히 감옥에 가두어 둘 수는 없습니다』를 엮어 발간하였다. 2020년 국민훈장 모란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안경환, 『조영래 평전』(도서출판 강, 2006)

논문

임송자, 「조영래,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시대의 어둠을 밝히고 청춘을 불사르다」(『내일을 여는 역사』 73, 내일을여는역사재단, 2018)

신문

「인권변호사 조영래」(『동아일보』, 1990. 12. 15.)
「책 이야기 17: 어느 청년노동자의 삶과 죽음」(『한겨레』, 1990. 12. 15.)
「인권변호사 조영래 씨 한평생 80년대 민주화운동에 큰 발자취」(『한겨레』, 1990. 12. 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