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녕사 ()

목차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삼성면에 있었던 고려시대 의 사찰.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삼성면에 있었던 고려시대 의 사찰.
내용

복녕사(福寧寺)에 관한 창건 기록이나 자세한 내력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몇몇 문헌 기록을 통해서 그 대략적인 윤곽을 살필 수 있을 뿐이다. 『고려사(高麗史)』에 따르면 1358년(공민왕 7) 4월에 나라에 큰 가뭄이 들자 복녕사와 그 밖의 여러 신사(神祠)에서 기우제를 지냈고 그 결과 비가 내렸다고 한다. 1900년대 초에 편찬된 『사탑고적고(寺塔古蹟考)』에는 그 옛터가 경기도 개성군 중서면 곡령리 복녕동에 있으며, 동서 35 간·남북 75 간의 규모인데 초석이 흩어져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복녕사는 국가에서 기우제를 지낼 만큼 비중 있는 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후의 내력은 알 수 없는데 20세기 이전에 이미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사탑고적고(寺塔古蹟考)』
『한국불교사찰사전』(이정, 불교시대사, 1996)
『한국사찰사전』상권(권상로, 이화문화출판사, 1994)
집필자
이지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