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 구인사 청자소문발우

목차
관련 정보
단양 구인사 청자소문발우
단양 구인사 청자소문발우
공예
작품
문화재
충청북도 단양 구인사의 불교천태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 발우.
목차
정의
충청북도 단양 구인사의 불교천태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 발우.
내용

북송의 사신이었던 서긍(徐兢)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청자는 12세기 전반 경에 이미 중국의 관요청자와 비견될 수 있을 정도로 세련되어 있었다. 12세기 전반기는 비색 순청자의 제작 기술이 완성된 시기였고 단양 구인사 청자 소문 발우는 그러한 기술적 토대위에서 제작되었다. 이 청자 발우는 기벽이 얇고 태토는 정선되었다. 유약은 투명하게 잘 녹아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었다. 발우 내면 바닥에는 내저원각이 있다. 내저원각의 지름은 굽 직경보다 작으며 측선이 약간의 호형 형태의 사선으로 뻗어 올라가 직구를 이룬다. 청자 발우의 외면에는 시문된 문양은 없지만 구연 안쪽 약2cm 아래에는 한 줄의 음각선이 둘러져 있다. 이 청자 발우는 음각선부터 구연부를 직각으로 세운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다. 발우의 내부와 외부에는 빙렬(氷裂)이 있다. 발우 외부의 빙렬이 내부의 빙렬보다 더 굵다. 발우의 저부는 규석 받침을 사용하였으며 갑발을 사용하여 번조하였다. 발우의 형태와 갑발을 사용하여 청자를 소성한 점 등으로 보아 이 청자발우는 고려시대 중기에 만들어지 최고급 청자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중기 청자의 연구」(장남원, 이화여대 박사논문, 200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성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