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도하자고성 ()

목차
고대사
유적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敦化市) 추리구진(秋梨沟镇) 횡도하자촌(橫道河子村)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성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敦化市) 추리구진(秋梨沟镇) 횡도하자촌(橫道河子村)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성곽.
내용

횡도하자고성은 헝다오허쯔촌에서 동쪽으로 2.5㎞ 떨어져 위치한다. 고성은 레이펑기하[雷風氣河]와 무단강[牡丹江]이 합류하는 서남쪽의 높고 비교적 평평한 지대에 있다. 레이펑기하가 성의 서쪽에서 동쪽을 향해 흐르고, 무단강은 성의 동쪽에서 남북으로 흐른다. 고성은 동쪽으로 강에 인접해 있고, 동남 모퉁이는 높이 30여 m의 벼랑에 접한다. 남쪽에서 북쪽으로 석벽을 쌓았는데, 약 70m이다. 성의 북쪽도 강에 근접하였는데, 절벽의 높이는 20m 정도이다.

횡도하자고성은 둔화시 인근에 있는 석호고성(石湖古城), 흑석고성(黑石古城)과 함께 발해시기의 평지성 중에 중형급에 속한다. 성의 방향은 서쪽이며, 평면은 불규칙한 방형을 이룬다. 전체 둘레는 1,620m이다. 성벽 중 서쪽 벽의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여 성벽의 구조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현재 벽의 중간 부분에는 너비 7m의 문지가 하나 있고, 옹성의 흔적이 남아 있다. 서벽의 북쪽 끝 바깥쪽에는 세 겹의 성벽과 참호를 별도로 더 설치하여, 방어기능을 강화하였다. 성벽의 잔여 높이는 24m이고, 벽 아래 너비는 35m이다. 호의 너비는 약 2m이다.

성안의 서남부에는 저수지가 한 곳 있는데, 직경이 10m이다. 저수지의 둘레에는 잔여 높이가 40㎝인 흙 두둑의 흔적이 남아 있다. 성안은 일찍부터 경작으로 훼손되어 건물지 흔적과 유물을 찾아보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성의 형태와 구조로 볼 때 발해 시기의 성지로 인정되고 있지만, 고구려 때 처음 세워져 발해와 요·금 시기에 계속 사용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횡도하자고성은 두 강이 합류하는 험준한 자연 지형을 잘 이용하여 성을 구축하였고, 북쪽과 동쪽의 수로를 공제하였다. 또한 서쪽 성벽의 바깥에는 3중의 성벽으로 방어선을 구축하여, 서쪽에서 침범하는 적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요새지이다. 이 성은 위치와 구조로 볼 때, 발해시기에 군사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둔화시 시급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발해 유적 사전』(구난희‧이병건‧정석배‧백종오‧김진광‧전현실‧김진한,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渤海城郭』(方學鳳, 延邊人民出版社, 2001)
「牧丹江流域渤海古城初步硏究」(于彭, 大連大學 碩士論文, 201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