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서문 ()

목차
언어·문자
개념
화자가 사건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진술하는 문장.
목차
정의
화자가 사건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진술하는 문장.
개설

평서문은 평서형 어미가 결합하여 성립된다. 진술은 청자에 대한 화자의 일방적 진술과 청자의 질문에 대한 화자의 응답 진술로 구분할 수 있다. 평서문은 하자와 청자가 얼굴을 마주 대고 이야기를 주고받는 상관적 장면과 매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청자에게 이야기하는 단독적 장면을 모두 사용한다.

내용

평서문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어미는 해라체의 평서형어미 ‘-다’이다. 이 어미는 “경치가 좋다.”, “그는 학생이다.”의 ‘좋다’, ‘학생이다’와 같이 형용사와 서술격조사에 결합할 때는 어간에 직접 결합하기도 하지만, “나는 밥을 먹는다.”, “밥을 먹었다.”, “밥을 먹겠다.”와 같이 동사에 쓰일 때는 ‘-는/ㄴ-’, ‘-았-’, ‘-겠-’을 앞세우는 것이 보통이다.

어미 ‘-다’는 동사의 어간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에는 일기문이나 신문 기사의 제호와 같은 단독적인 장면에서 사실을 간략하게 진술하는 기능을 가진다.

어미 ‘-다’는 선어말어미 ‘-더-’, ‘-리-’, ‘-니-’ 뒤에서는 ‘하더라’, ‘하리라’, ‘하니라’와 같이 ‘-라’로 교체되기도 한다. ‘-라’는 ‘학생이라고’와 같이 서술격조사와 인용조사 ‘고’ 사이에서도 나타난다. 이는 ‘-라’의 교체가 형태론적으로 조건지어졌기 때문이다.

평서문은 해라체의 ‘한다’, 하게체의 ‘하네’, 하오체의 ‘하오’, 하십시오체의 ‘합니다’, 해체의 ‘해’, 해요체의 ‘해요’와 같이 일정한 상대높임의 등분을 가지고 있다. 하게체의 ‘하네’는 동사의 평서형으로서 형용사에는 ‘-(으)이’가 결합한다. 그러나 이 형태는 요즘은 ‘-네’로 흡수되어 가고 있다.

선어말어미 ‘-는/ㄴ-’, ‘-었-’, ‘-겠-’을 앞세운 ‘-다’와, 형용사와 서술격조사의 어간에 직접 결합하는 ‘-다’는 대화와 같은 상관적 장면에서도 쓰이지만 기사문, 설명문, 소설의 지문, 수필 등의 단독적 장면에서도 널리 쓰인다. 이 형태가 단독적 장면에서 쓰일 때는 하라체로서 독자를 특별히 낮추는 뜻이 없다. 하게체와 하십시오체도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단독적 장면에 쓰인다.

해체는 상관적 장면에만 쓰이고 단독적 장면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해체의 ‘-어’는 객관적 진술에 쓰이고 ‘-지’는 미리 알고 있다든지 하는 주관적 진술에 쓰인다.

일반적으로 평서문은 끝이 ‘-다’로 되어 있어 마침표를 찍지 않아도 문장 종결의 표가 분명히 드러나나 해체와 해요체는 모든 문체법에 걸쳐 각각 형태가 같으므로 마침표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 앞에는 강조법의 선어말어미 ‘-니-’와 ‘-엇(것)-’이 결합하기도 한다. ‘-니라’는 진리나 으레 있는 사실을 일러 줄 때에 쓰며, ‘-엇다/-것다’는 추측과 주관적 믿음을 나타내며 주로 독백에서 많이 쓰인다.

‘-(으)마’가 결합한 문장은 약속을 의미하는 해라체의 특수한 평서문이다. 이를 약속 평서문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약속을 나타내는 종결어미가 결합하는 문장은 학자에 따라서는 약속문으로 평서문과 구분하기도 한다. 하게체에서는 ‘-(으)ㅁ세’, 하오체에서는 ‘-(으)리라’, 하십시오체에서는 ‘-(으)오리다’로 나타나나 요즘은 해라체의 ‘-(으)마’만 주로 쓰인다. 약속의 평서문은 화자가 자기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베풀어 그 실현을 기꺼이 약속할 때 쓰이는 것이 보통이므로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는 “오냐, 내가 때리마.”와 같은 예는 자연스럽지 못하다.

참고문헌

『표준국어문법론(제3판)』(남기심ㆍ고영근, 탑출판사, 2011)
『한국어 문법론』(최재희, 태학사, 2004)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윤석민, 집문당, 2000)
『국어형태론연구』(고영근,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국어문법론강의』(이익섭ㆍ채완, 학연사, 1998)
『한국의 언어』(이익섭ㆍ이상억, 신구문화사, 1997)
『국어문법의 연구』(고영근, 탑출판사, 1983)
『국어문법론』(김민수, 일조각, 1971)
집필자
이래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