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음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후두 근육을 긴장하거나 성문을 폐쇄하여 내는 자음. 된소리 · 농음.
이칭
이칭
된소리, 농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경음은 후두 근육을 긴장하거나 성문을 폐쇄하여 내는 자음으로 된소리 또는 농음이라고도 한다. 국어의 경음은 쌍기역(ㄲ), 쌍디귿(ㄸ), 쌍비읍(ㅃ), 쌍지읏(ㅉ), 쌍시옷(ㅆ)을 말한다. 대체로 경음이란 소리를 내기 위한 기류의 흐름이 아주 강하고, 이에 따라 조음점에서 생기는 저항이 아주 강력할 뿐 아니라, 근육긴장이 아주 큰 자음을 말한다. 생리적으로는 긴장성이 있고 음향적으로는 강도가 높은 소리이다. 평음인 ㅂ·ㄷ·ㄱ·ㅈ·ㅅ이 쌍기역(ㄲ), 쌍디귿(ㄸ), 쌍비읍(ㅃ), 쌍지읏(ㅉ), 쌍시옷(ㅆ)으로 변하는 경음화는 말의 뜻과 느낌을 시대감각에 맞도록 강도를 높여 신선한 느낌을 주기 위해 말소리를 바꿀 때 일어난다.

정의
후두 근육을 긴장하거나 성문을 폐쇄하여 내는 자음. 된소리 · 농음.
개설

‘ㄲ, ㄸ, ㅃ, ㅆ, ㅉ’ 따위의 소리이다. 된소리 또는 농음(濃音)이라고도 한다. 보통 경음이란 조음(調音)을 위한 기류의 흐름이 아주 강하고, 이에 따라 조음점에서 생기는 저항이 아주 강력할 뿐 아니라, 근육긴장이 아주 큰 자음을 말한다. 생리적으로는 긴장성이 있고 음향적으로는 강도가 높은 소리이다.

연원 및 변천

역사적으로, 고대국어에는 된소리 계열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이 성립되기 위한 두 가지 증거가 존재하는데, 첫째, 만약 당시 된소리 계열이 존재했다면, 중국 중고음의 전탁계열이 동음에 된소리 계열로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전탁은 고대국어에 원칙적으로 평음으로 반영되었다. 둘째, 한자 차용 표기에서도 된소리의 표기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전기 중세국어의 자음에는 어두에도 경음이 나타났으며, 어두자음군은 형성되어가는 중이었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어두의 경음은 ‘ㅺ · ㅼ · ㅽ’ 등의 ㅅ계 합용 병서와 ‘ㆅ’으로, 어중의 경음은 ㅅ계 합용병서와 ‘ㄲ · ㄸ · ㅃ · ㅉ’으로 기록되었다. ㅅ계 합용병서로 기록된 경음에 ‘ㅾ’은 존재하지 않았다. ‘ㅾ’은 근대국어에 들어 만들어진 음이다.

근대국어에서는 경음 목록에 ‘ㅾ’의 추가 외에도 경음을 표기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주로 ㅅ계 합용병서로 표기되던 경음은 근대국어에 들어서 ㅂ계 합용병서로도 표기가 되어 경음 표기에 혼란을 일으킨다. 근대국어에서 ‘ㅅ’의 경음이 ‘ㅆ’이 아니라 ‘ㅄ’으로 표기된 예를 제외하고는 경음의 표기가 ‘된시옷(된‘ㅅ’)’으로 통일되는 경향이 분명해진 것은 19세기에 와서의 일이다.

내용

국어의 경음은 파열음인 ‘ㅃ · ㄸ · ㄲ’, 파찰음인 ‘ㅉ’, 마찰음인 'ㅆ'이 이에 속하며, 음성기호로는 〔p’〕 · 〔t’〕 · 〔k’〕 · 〔č’〕 · 〔s’〕로 표기한다. 경음은 발음할 때 두 성대를 맞닿아 성문을 완전히 막았다가 성문 아래에 압축된 공기를 조금만 방출한다. 이것이 마치 성문파열음 [ʔ]을 발음하는 것과 같다고 하여 경음 표시 [ʔ]을 사용하여 [pʔ, tʔ, sʔ, čʔ, kʔ]로 표시하기도 한다.

경음은 평음인 ‘ㅂ · ㄷ · ㄱ · ㅈ · ㅅ’과 대립관계에 있다. 경음과 평음의 차이는 조음시에 후두의 성대 긴장을 수반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있다. 후두의 성대 긴장을 수반하는 음은 경음(된소리)이고, 그렇지 않은 음은 평음이다. 곧, 국어의 경음인 ‘ㅃ · ㄸ · ㄲ · ㅉ · ㅆ’은 평음인 ‘ㅂ · ㄷ · ㄱ · ㅈ · ㅅ’과 조음점 긴장의 유무, 즉 성대의 긴장 유무에 대한 상관적 대립을 형성한다.

국어의/ㅂ/ : /ㅃ/, /ㄷ/ : /ㄸ/, /ㄱ/ : /ㄲ/, /ㅈ/ : /ㅉ/, /ㅅ/ : /ㅆ/은 5개의 상관적 짝(correlative pair)을 이루며, 이 상관적 짝의 전체를 조음점 긴장의 상관이라 한다. 국어의 경음인 ‘ㅃ · ㄸ · ㄲ · ㅉ · ㅆ’의 음성적 성질에 대하여는 아직 여러 가지 견해가 대립되어 있다. 종래에 주장된 주요 견해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문의 폐쇄 또는 긴장을 수반하는 음이라는 설이다. 이는 오구라(小倉進平)와 마틴(Martin,S.)이 주장한 설로 종래 우리 학계에서 많은 지지를 받아왔다.

둘째, 어두에서는 성문화(聲門化)를 수반하지만, 어중(語中) 특히 모음 사이에서는 중자음(重子音, geminate)이라는 설. 이는 호케트(Hockett,C.F.)가 주장한 설이다.

셋째, 경음은 유성음이라는 설이다. 이는 최현배(崔鉉培)와 융커(Junker, H. F. J.)가 주장한 설이다. 특히, 최현배는 그의 저서 『한글갈』에서 경음, 즉 된소리는 지속에 있어서는 무성음이지만, 밖으로 터뜨릴 때는 ‘성(聲)이 난다’하여 폐쇄음의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이 아니라 외파(外破)에 있는 것이므로, 된소리는 유성자음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상과 같은 여러 설에 대하여 최근의 새로운 실험적 연구에서는 종래의 제설(諸說)이 근거가 박약한 것이었음을 드러내고 있다. 스칼리츠코바(Skalićková, A.)와 한(Han, M. S.), 그리고 김진우(金鎭宇) 등의 연구에 의하면, 경음 즉 된소리의 특징을 대체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들 수 있다.

첫째, 경음을 발음할 때는 모든 조음기관이 극도로 긴장된다.〔ㅃ〕을 예로 들면 두 입술의 폐쇄가 평음의 〔ㅂ〕보다 강하고, 따라서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며 비강(鼻腔) 통로의 차단도 또한 강하게 된다. 외파에 있어서도 입이 평음보다 훨씬 넓게 열리게 된다.

둘째, 경음과 다음 모음의 연결이 외파와 동시에 발음되기 때문에 여기에 과도(過渡)의 변개가 일어나지 않는다. 즉 이 연결은 평음의 경우에서는 경음보다 느슨하고 유기음의 경우에서는 그보다 더 느슨하다.

셋째, 경음은 어두에서나 어중에서나 모두 무성음이다.

넷째, 긴장성을 가진 경음은 그렇지 않은 평음에 비해서 모음 사이에서 약 2배 정도 길게 발음된다.

이와 같은 견해는 실제로 경음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있어 하나의 전환점을 제시해 준다. 경음의 실제 발음예로 ‘ㅃ · ㄸ · ㄲ · ㅉ · ㅆ’ 등의 어두음 ‘뼈 · 띠 · 꼬리 · 찜질 · 쌀’ 등을 발음해 보면 구개수(口蓋垂, 목젖)와 연구개가 내려와 인두벽(咽頭壁)이 닫힌다거나 후두가 솟아오른다거나 하지 않는다. 더구나, 성문은 닫히는 것이 아니고, 다만 조음위치인 두 입술이나 혀끝과 잇몸, 혓바닥과 입천장과의 폐쇄 밀접도(密接度)가 커져 있다가 모음을 만나면 빨리 터뜨리며 목청을 울리는 움직임이 있을 뿐이다.

음운변화의 하나로서 평음인 ‘ㅂ · ㄷ · ㄱ · ㅈ · ㅅ’이 경음인 ‘ㅃ · ㄸ · ㄲ · ㅉ · ㅆ’으로 변하는 수가 있다. 이를 경음화 또는 된소리되기라 한다. 경음화현상은 격음화현상과 마찬가지로 말의 뜻과 느낌을 시대감각에 맞도록 강도를 높여 신선한 느낌을 주기 위하여 말소리를 바꾸는 데서 일어난다.

참고문헌

『한국어음운론』(강옥미, 태학사, 2003)
『근대국어문법론』(이광호, 태학사, 2003)
『국어사개설』(이기문, 태학사, 1998)
『중세국어문법론』(안병희·이광호, 학연사, 1989)
『국어음운사연구』(이기문, 탑출판사, 1987)
『국어음운학』(허웅, 정음사, 1965)
『국어학개설』(이희승, 민중서관, 1958)
「경음의 음운사적 연구」(서영석, 『동악어문논집』28집, 1993)
집필자
이래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