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간 성분 (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문장의 형성에 필수적으로 참여하는 문장성분. 필수성분 · 주성분.
이칭
이칭
필수성분, 주성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문장의 형성에 필수적으로 참여하는 문장성분. 필수성분 · 주성분.
개설

문장을 구성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최소한의 문장성분을 근간 성분이라 한다. 근간 성분은 필수 성분(必須成分), 주성분(主成分)이라고도 한다. 한편 문장의 골격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하고 다른 성분에 딸려 있는 성분들을 부속성분 또는 수의적 성분이라고 한다. 뒤에 오는 말에 부속되지 않고 그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이 독립된 성분은 독립성분이라 한다.

내용

근간 성분에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가 있다. ‘무엇이 어찌한다’, ‘무엇이 어떠하다’, ‘무엇이 무엇이다’의 ‘무엇이’에 해당하는 말이 주어이고, ‘어찌한다’, ‘어떠하다’, ‘무엇이다’에 해당하는 말이 서술어이다. 서술어가 타동사이면 ‘무엇이 무엇을 어찌한다’의 형식을 취하게 되는데 이때의 ‘무엇을’에 해당하는 말이 목적어이다. ‘무엇이 무엇이 되다’, ‘무엇이 무엇이 아니다’의 두 번째 ‘무엇이’는 서술어 ‘되다, 아니다’의 보어이다. 이들 문장에서 보어가 없으면 불완전한 문장이 된다.

이들 근간 성분 중이 모든 문장에서 반드시 나타나야 되는 것은 아니다. 근간 성분 중에서 주어와 서술어는 모든 문장에 반드시 있지만 목적어와 보어는 서술어의 종류에 따라 문장에 없을 수 있다. 목적어는 서술어가 자동사인 구문에서는 있을 수 없으며, 보어는 특정한 서술에서만 존재한다. 그러므로 근간 성분이란 문장을 구성함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성분들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부속 성분인 부사어 중에는 필수적으로 실현되어야 하는 것들이 있다. “철수가 동생에게 물을 주었다.”, “철수가 우체통에 편지를 넣었다”. “영수는 그 일을 영희와 상의하였다.” “어머니는 영희를 수양딸로 삼았다.”에서 ‘동생에게’, ‘우체통에’, ‘영희와’, ‘수양딸로’는 문장에서 생략되면 온전한 문장을 구성할 수 없다. 이렇게 근간 성분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부사어를 필수적 부사어라 한다. 이들 필수적 부사어는 문장의 형성에 필수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근간 성분에 포함시키는 견해도 있지만, 현행 학교 문법 체계에서는 부속 성분으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표준국어문법론(제3판)』(남기심ㆍ고영근, 탑출판사, 2011)
『새롭게 펴낸 국어학 입문서: 국어학의 이해』(최전승·최재희·윤평현·배주채, 태학사, 2008)
『한국어 문법론』(최재희, 태학사, 2004)
『국어문법론강의』(이익섭ㆍ채완, 학연사, 1999)
『한국의 언어』(이익섭ㆍ이상억, 신구문화사, 1997)
『국어문법론』(이익섭ㆍ임홍빈, 학연사, 1983)
『국어문법의 연구』(고영근, 탑출판사, 1983)
「우리말 필수성분에 관한 연구: 필수성분의 본질」(이정택, 『태릉어문연구』10, 2002)
「언어의 필연과 필수(문 성분을 중심으로)」(이용주, 『국어학』20, 1990)
집필자
이래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