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양계협회 ()

식생활
단체
1973년, 창립된 양계업 생산자 단체.
이칭
이칭
한국가금협회
단체
설립 시기
1973년
전신
한국가금협회
발간지
월간 양계
내용 요약

대한양계협회는 1973년 창립된 양계업 생산자 단체이다. 1962년 한국가금협회로 창립되어 1973년에 한국부화협회와 한국초생추감별협회를 통합하여 대한양계협회로 새롭게 명칭을 변경하였다. 양계 회원의 이익 증대를 위한 양계 경영 기술과 정보를 보급하고 자조금을 바탕으로 계란과 닭고기 등의 양계 산물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홍보 활동과 연구·조사 사업을 펼치고 있다.

정의
1973년, 창립된 양계업 생산자 단체.
설립 목적

대한양계협회는 양계 경영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보급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고품질의 안전한 양계 산물을 제공하여 소비를 활성화함으로써 회원 간의 협조를 도모하고 경제 · 사회적 지위 향상과 복리 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양계업자 단체이다.

변천 및 현황

대한양계협회는 1962년 ‘한국가금협회’로 출발하였고, 이후 설립된 ‘한국부화협회’와 ‘한국초생추감별협회’를 통합하여 1973년에 ‘대한양계협회’로 출범하였다. 1969년부터 간행물인 『월간 양계』를 발간하여 양계 관련 지식과 기술 정보를 제공해 오고 있다. 1981년에는 사업에 필요한 자조금을 적립하기 시작하였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있는 본회를 비롯하여 전국 도지회 및 지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채란, 종계 부화, 주2의 업종별 위원회와 검정, 편집, 위생 방역 대책 전문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다.

주요 활동

사양, 질병, 통계와 관련된 양계 정보와 기술을 회원에게 보급하여 공유하는 것은 대한양계협회의 주요 사업 가운데 하나이다. 대한양계협회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세미나를 진행하고, 가격과 생산비 동향을 파악하여 수급 조절을 위한 조사 지도 사업도 진행해 오고 있다. 1965년부터 우수한 품종을 농가에 공급하기 위하여 종계와 일반닭의 검정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1994년부터 외국 품종의 도입으로 소멸되어 가고 있는 국내 재래종 종자 보존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1980년부터 양계 산물의 수입 증가와 주1(AI)와 같은 질병 발생에 대처하기 위한 활동도 대한양계협회의 주요 사업이다.

대한양계협회는 1991년에는 한국 양계 박람회를 개최하였고, 2011년에는 한국 국제 축산 박람회을 주관하였다. 1992년에는 양계 자조금 사업으로 소비 촉진을 위한 홍보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도지회와 지부가 구성되어 양계 경영 지도, 종계 보급, 질병 방역 사업 등을 통해 회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회원들은 간행물인 『월간 양계』 구독으로 깊이 있는 사양 기술과 양계 정보를 접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대한양계협회는 양계 농가의 권익 보호와 양계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양계 생산자로 구성된 주요 단체이다. 구성원이 주3, 육계, 주4를 아우르는 양계 관련 연합체라는 점에서 육계 중심의 연합체인 ‘한국육계협회’와 차별화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계육협회, 『한국계육산업발전사』(한국계육협회, 2002)
한국가금발달사 편찬위원회, 『한국가금발달사-오당 오봉국 박사 회갑기념-』(한국가금발달사 편찬위원회, 1985)
한국축산발달사편찬위원회, 『한국축산발달사』(1998)

인터넷 자료

대한양계협회(https://www.poultry.or.kr/movie/movie.php)
주석
주1

닭, 오리 따위와 같은 가금류와, 야생 조류 등이 걸리는 급성 바이러스 전염병. 조류의 호흡기, 소화기, 신경계 등을 손상시킨다. 특히 고병원성의 경우 전염성과 폐사율이 높아 제1종 법정 가축 전염병으로 분류된다. 우리말샘

주2

주로 고기를 얻으려고 살지게 기르는 닭. 우리말샘

주3

알을 낳는 닭. 주로 알을 얻기 위하여 기르는 닭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4

씨를 받기 위하여 기르는 닭.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